논문 상세보기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연구 KCI 등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A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교육활동에서 교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향은 교육의 실천적인 맥락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작동한다. 따라서 과학교사의 지구계 수업에 대한 인식과 지향을 분석하는 것은, 지구계 교육의 목표가 현실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될지 가늠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두 명의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 학습계획안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지구계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지향을 수업에 대한 일반적 관점과 통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계 교육의 궁극적 겨냥점인 '전지구적 과학소양'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될 때 그 취지가 충분히 반영된 지구계 수업이 실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전 지구적 과학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통합을 포함한 다양한 통합의 상(像)이 교사에게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현장에서 지구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구계 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eachers play key roles in classroom instruction. The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of teachers about teaching have substantial effect on the practical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alyz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ESE) offers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how the goals of ESE might be dealt with. In this study, lesson plans developed by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with two teach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ESE perceptions. ESE orientations were also investigated in terms of teaching orientations and integration orientation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deep understandings about 'Global Scientific Literacy (GSL)', the ultimate goal of ESE, precede the sound ESE teaching in the classroom. To enhance teachers' GSL, exemplary aspects of various integration, including networked integration, should be provided specifically to teachers. Also, the institutionalized approaches to developing ESE curriculum could help classroom teachers activate ESE teaching in their classroom.

저자
  • 김찬종(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 맹승호(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맹승호
  • 이정아(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Lee, Jeo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