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위성체 다형성을 이용한 제주재래돼지 및 외래 돼지품종간의 유전적 특징 및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Genetic Characteriz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Jeju Native and Exotic Pig Breeds by Microsatellite Polymorph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1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근래의 육종산업에 있어서 재래 혹은 토착품종 등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효율적인 보존 및 관리는 중요한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제주재래돼지와 외래돼지 품종들간의 유전적 다양성, 집단의 구성 및 근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제주재래돼지, Landrace, Yorkshire, Berkshire 등 4품종 총 200개체를 대상으로 30개 초위성체 마커를 대상으로 대립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전체 265개의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다. 대립유전자 수의 범위는 5개(SW168)에서 22개(S0005)였으며, 전체 좌위에 대한 평균 값은 8.83개로 산출되었다. 30개 마커에 대한 기대 및 관측 이형접합도의 평균치는 0.731 및 0.615, 다형정보지수의 평균값은 0.697로 확인되었다. 제주재래돼지의 유전적 다양성은 외래 품종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요인대응분석 및 집단구조 분석 결과, 제주재래돼지는 서양유래의 상용품종과 유전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제주재래돼지의 유전적 고유성 및 유전자원으로써 가치판단을 위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ive management of unique animal genetic resources, such as local breed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n modern breeding. In the present study, 30 microsatellite loci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and relationships among Jeju native and exotic pig breeds. In total, 200 animals from four pig breeds (Jeju native, Landrace, Yorkshire and Berkshire) were analyzed, 50 individuals per breed. Overall, 265 alleles were observed. The mean expected and observed heterozygosity (HExp and HObs)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of Jeju native pig were calculated at 0.550, 0.565, and 0.485, respectively. However, exotic breeds were higher level of these diversity parameters than those of Jeju native pig. Phylogenetic analysis, factorial component analysis (FCA), and genetic clustering results showed a clear distinction among the four groups representing the breeds, supporting the genetic uniqueness of the Jeju native breed in comparison with Western commercial breeds. These results were scientific evidence that Jeju native pig represent a unique and valuable animal genetic resource.

저자
  • 서상원(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Sangwon Suh
  • 조창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Chang-Yeon Cho
  • 변미정(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Mi-Jeong Byun
  • 김영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Young-Sin Kim
  • 최성복(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Seong-Bok Choi
  • 조인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In-Chul Cho
  • 배경훈(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 Kyoung-Hun Bae
  • 김재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Jae-Hwa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