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기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기장의 생육특성 및 토양의 이화학성, 수분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논 재배 시 기장의 안정적인 생산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장의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초장은 만홍찰에서 1년차에서는 240 cm 처리구에서 71.3 cm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이백찰은 2년차에서 60 cm 처리구에서 9.7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황금찰에서는 1년차에 60 cm 처리구에서 72.8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재배기간 중 습해 피해를 받게 되는 토양의 과잉수 정체시간은 이랑너비 240 cm 처리구에서 1,006시간으로 나타나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토양 내 과잉수 정체기간이 길어져 과습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수분함량의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3. 수량구성요소에서 이삭장은 1년차의 만홍찰과 이백찰이 60 cm 처리구에서 35.1, 34.8 cm로 가장 길었으며, 이삭당 종실중은 1년차의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6.9, 이백찰 7.8, 황금찰 8.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2년차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나 이랑너비가 좁아질수록 3품종 모두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천립중에서는 만홍찰과 이백찰이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60 cm 처리구에서 연차간 최대 6.8%, 46.2% 더 무겁게 나타났다.
4. 수량에서는 1년차에는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21, 이백찰 223, 황금찰 225 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만홍찰 30.8%, 이백찰 92.2%, 황금찰 47.1% 증수되었다. 2년차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78, 이백찰 221, 황금찰 200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만홍찰 103%, 이백찰 119%, 황금찰 85.2% 증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stable production of proso millet on the rotational paddy-upland field by looking out the physicochemical and moistur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by ridge width. Plant height showed Manhongchal was the smallest 71.3 cm in 24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Ibeakchal was the highest 69.7 cm in 60 cm wide in the second year, Hwanggeumchal was the highest 72.8 cm in 60 cm wide in the first year. The retention time of the excess water in the soil during cultivation was extended wider the width of ridge. The variation width of the water content was higher by the wider the width of ridge. Yield components showed the longest ear length were 35.1 cm of Manhongchal, 34.8 cm of Ibeakchal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As the width of ridge extended, ear weight of all variety increased. 1,000 seed weight of the 60 cm wide of ridge was Manhongchal 6.8%, Ibeakchal 46.2% heavier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 Yield showed Manhongchal 221, Ibeakchal 223, Hwanggeumchal 225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The similar pattern of amount showed Manhongchal 278, Ibeakchal 221, Hwanggeumchal 200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second year. This showed Manhongchal 103%, Ibeakchal 119%, Hwanggeumchal 85.2% was more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