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육성 조생종 벼 품종들에 대한 등숙기 고온내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n Early-maturing Korean Japonica Cultivars for High-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조생종 벼 품종들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자포니카(Oryza sativa L. ssp. Japonica)의 조생 다수성 품종인 남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1024의 등숙기 고온내성을 비교 평가하여 등숙기 고온내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조생종 벼 품종들 중 대봉, 운광, 및 만안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1024가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중모1024는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와 너비가 감소하였으며, 현미 너비의 감소율이 현미 길이의 감소율에 비하여 평균 4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보다는 너비가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해 가장 문제가 되는 완전미율과 미숙립율을 공시품종들간 비교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중모1024, 태봉, 운광 및 만안이 고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적온에서 낮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이 상대적으로 고온에 의한 현미완전미율 감소율이 적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에 비해 낮았다. 또한,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고온내성이 양호한 중모1024는 고온에서도 좋은 쌀 외관품위와 안정적 수확성 향상을 위한 육종모재로서 유용형질을 교배를 통해 고품질 벼의 보완을 위해 이전할 수 있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Early-maturing Korean Japonica cultivars and Jungmo1024 were used as plant materials to evaluate high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Korea developed Jungmo1024, a mutant line from Namil (wild type) treated by using sodium azide (SA) as mutagen. To evaluate high-temperature tolerance, all cultivars were exposed to high-temperature (day 31.5±2.5℃/ night 27.5±1.3℃) and ordinary temperature (day 27.5±1.8℃/ night 24.7±1.6℃) during grain filling stage. In these conditions, we performed compared evaluation of grain shape such as length and width and grain quality by using a 1625 Cervitec grain inspector. High-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caused decrease of grain shape. In grain shape such as length and width, the decrease rate of width (average 6.3%) was higher than the decrease rate of length (average 1.3%). Hence, high-temperature affected width of grain than length of grain. In addition, high-temperature showed a decided difference in rate of head rice between ordinary temperature (average 76.3%) and high-temperature (average 13.3%).As a result, Taebong, Ungwang, Manan, and Jungmo1024 seemed relatively a decent high-temperature tolerance than other cultivars. Especially, Jungmo1024 seemed remarkable rate of head rice (average 34.4±6.2%) than other cultivars under high-temperature. It is considered that a genetic trait of Jungmo1024 can be useful to improve breeding for high-temperature tolerance.

저자
  • 조성우(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Seong-Woo Cho
  • 정지웅(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Ji-Ung Jeung Corresponding author
  • 강경호(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Kyung-Ho Kang
  • 김현순(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Hyun-Soon Kim
  • 김보경(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Bo-Kye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