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 음악 통합 프로그램 모형개발 KCI 등재

A model development of integrating art and music program using traditional fairy t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아동에게 전래동화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무한대로 만들어 주는 매개체이며, 아동에게 교육가치 및 체험이라는 관점에서 창의적 신장을 위한 매개체로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전래동화는 한국적 정서와 가치관, 인간관계, 환타지 등 올바른 사고력과 창의력, 언어능력의 교재로서도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전래동화의 가치에 미술의 활동과 원리, 음악의 활동과 원리의 통합을 통하여 융화와 수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킨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전래동화 속에는 우리 조상의 리듬감이 내재되어 있어 가락을 즉흥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상상표현을 통한 미적체험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들에게 전래동화 속에서 살아있는 우리문화와 전통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고 또한 그 전통에서 미술과 음악, 즉 예술이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raditional fairy tale familiar with juveniles is a medium that can infinitely create imaginative and creative power. In addition, from the view point of educative value and experience to children, it is highly suitable as a medium that increases originality. And Korean emotion, values, human relations, and fantasy inherent in it is also proper as a textbook of linguistic ability, ultimately oriented, correct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So, I presented an integrated program to improve positive harmony and efficiency of class by combining the principle and activity of art with music activity to such values of it. Since traditional fairy tale contains our ancestor's rhythmic sense, by applying it to melody extemporaneously, it enables them to do various expressive activities of music.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traditional fairy tale, furthermore, proposed the integrated program that makes us be naturally familiar with our living cultures and traditions within it and ,in the traditions, have us to realize that art and music ,namely, arts are closely related to our life.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2. 미술 · 음악 통합교육의 필요성
  2.3.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

3. 전래동화를 활용한 통합프로그램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수태(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 Lee, Soo Tai
  • 전금자(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외래교수) | Jeon, Gum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