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제 강점기 경성 공업활동의 공간적 분포 연구: 민족 별 주거지 분포를 기준으로 KCI 등재

Spatial Patterns of Industrial Activities in Seoul Under Japanese Colonial Powers: Based on Ethnically Segregated Residential Distribution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997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5.15.3.0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 연구는 1930년대 경성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주거지와 공업활동을 분석한다. 1930년대는 한반도의 공업화가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경성은 당시 공업화의 핵심공간이었다. 이 연구는 경성공업의 공간적 분포를 조선인과 일본인의 두 민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근대 한국의 인문·사회적 공간현상에 대한 연구가 정성적 접근에 제한된 바, 이 연구에서는 근대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공간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성은 민족에 따른 주거지 분화가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화는 주요 민족 별 공업 분포에도 반영되었다. 하지만 공업의 공간적 분포는 민족 별 주거지 분화 뿐만 아니라 지가 등 다른 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근대 역사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patial patterns of residence and indust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Japanese ethnic groups in the 1930s. The 1930s is characterized as rapid industrialization periods in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Seoul was the core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spatial patterns of industries based on Korean and Japanese residence at the time. Seeing the previous studies about spatial patterns about socio-economic activ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qualitatively driven, this study uniquely applies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eoul had distinctly clear segregation patterns among different ethnic residences. And this segregation attributed to industrial segregation by ethnic groups. However, spatial distribution of industries reflect not only residential segregation but also many other factors such as land cost and life styles.

목차
I. 서론
II. 연구 지역, 대상 및 연구 데이터
III. 연구방법
IV.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창화(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Changwha Oh
  • 김영호(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 | Youngh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