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산초담󰡕의 이본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Haksanchod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鶴山樵談󰡕은 許筠(1569~1618)이 25세 되던 1593년 강릉에서 기록한 시화 집이다. 鶴山은 허균이 이 시화를 저술하던 시기에 머물렀던 愛日堂 북쪽에 있 는 靑鶴山이다. 󰡔학산초담󰡕 後記에서 애일당이 있는 뒷산의 이름을 따서 蛟山 子라는 호를 처음 썼다. 허균은 아직 문과에 급제하기 전이라 ‘청학산 나무꾼의 이야기’라는 정도로 겸손하게 책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필자가 현재까지 확인한 󰡔학산초담󰡕 이본은 6종이다. 이인영의 장서인 淸芬 室文庫에도 󰡔학산초담󰡕이 소장되어 있었지만,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李仁榮 은 경성제국대학을 졸업하던 1937년부터 고서를 수집했는데, 희귀본 540종의 해제를 작성하여 1944년에 󰡔淸芬室書目󰡕을 탈고하였다. 그가 소개한 󰡔학산초 담󰡕의 서지에 「寒皐館外史題後」를 인용 소개하였지만, 출전을 󰡔담정유고󰡕라고 밝힌 것을 보면 󰡔한고관외사󰡕에서 전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 10행 24자라는 필 사형식도 다르다. 현재 확인된 6종 가운데 규장각 소장본만 단행본이고, 다른 5종은 叢書에 실 려 있다. 가장 오래된 본은 이장재가 1790년에 편찬한 󰡔청구패설󰡕에 실려 있다. 󰡔패림󰡕이 일찍 영인되어 널리 알려졌지만, 김려가 편찬한 󰡔한고관외사󰡕도 󰡔패림󰡕 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총서이며, 󰡔패림󰡕은 󰡔한고관외사󰡕와 󰡔창가루외사󰡕를 저본 으로 해서 편찬했다. 󰡔패림󰡕에 실린 󰡔학산초담󰡕은 당연히 󰡔한고관외사󰡕를 베낀 것인데, 내용과 형태가 같을 뿐만 아니라 글자의 위치까지도 그대로 베꼈다. 그 러나 󰡔패림󰡕본에 빠진 구절들이 󰡔한고관외사󰡕본에는 온전하게 실려 있다. 󰡔한 고관외사󰡕본을 놓고 필사하는 과정에서 빠진 것이다. 󰡔대동패림󰡕본은 35칙만 필사되어 자료적 가치가 적으며, 장서각본도 󰡔청구패 설󰡕본이나 규장각본과 같은 내용이어서 자료적 가치가 적다. 󰡔청구패설󰡕에 실린 󰡔학산초담󰡕이 가장 앞선 본이기는 하지만, 주석이 정연하 기로는 󰡔한고관외사󰡕본을 따를 수 없다. 欄上의 기록이 덧붙긴 했지만, 체제가 정연하지 않다. 현재 확인되는 이본만 놓고 본다면 夾注는 김려의 󰡔한고관외사󰡕 에 실린 󰡔학산초담󰡕에서 시작되었으니, 김려가 정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협주를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더 많은 이본을 확인한 뒤에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필사 습관에 따라 다르게 쓴 글자들은 선본 확정에 큰 문제가 아니다. 󰡔패림󰡕본이 󰡔한고관외사󰡕본을 충실하게 전사했지만 몇 군데 잘못된 부 분이 있어, 현재로서는 󰡔한고관외사󰡕본이 가장 선본이라고 판단된다.

Haksanchodam is a Sihwa that was recorded by Hur Gyun(1569-1618) in 1593, when he was 25 years old. Of the 6 versions identified so far, the Gyujanggak-owned one is the only monograph, and the other 5 versions are inserted in collection books. The oldest version of them is inserted in Cheonggupaeseol, which was edited by Lee Jang-jae in 1790. Though Paerim is well-known as it was photo copied earlier, Hangogwanoisa is a collection book preceding Paerim temporarily, and Paerim was edited based on Hangogwanoisa and Changgaruoisa. Haksanchodam, as it is inserted in Paerim, is necessarily copied from Hangogwanoisa, and not only its contents and styles but also the positions of letters are copied without modification. However, the phrases omitted from Paerim exist completely in the version in Hangogwanoisa. They missed in the process of copying the version in Hangogwanoisa. The version in Daedongpaerim copies only 35 items by hand writing, which makes it have less data value, and the Jangseogak version is of less value since it has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Cheonggupaeseol and the Gyujanggak version. Though Haksanchodam in Cheonggupaeseol is the oldest, it cannot be paralleled with the Hangowanoisa version since the latter has the best glossary. Though records in the margins are added, its style is not ordered. Considering only the different versions identified by now, the parenthetical citations began in Haksanchodam in Kim Ryeo’s Hangogwanoi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his adding parenthetical citations in the course of producing the definitive version. However, this issue will be resolved only after we check more versions. The different letter patterns are not a probl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est version. Since the Paerimversion has some bad parts in it though it most substantially transcribes the Hangogwanoisa version, the Hangogwanoisa version is judged to be the best version by now.

목차
Ⅰ. ‘鶴山樵談’이라는 제목의 뜻
Ⅱ. 󰡔학산초담󰡕이 문집에 실리지 못한 이유
Ⅲ. 이본 6종 소개
1. 󰡔靑丘稗說󰡕본
2. 󰡔寒皐觀外史󰡕 본
3. 󰡔稗林󰡕 본
4.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大東稗林󰡕본
5. 서울대 규장각 가람문고 소장본 󰡔鶴山樵談
抄󰡕
6. 장서각 󰡔淸江小說󰡕 합본
Ⅳ. 이본 대교
Ⅴ. 맺음말 -󰡔학산초담󰡕의 선본
저자
  • 허경진(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Hur Kyoung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