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南塘 韓元震의 󰡔大學󰡕解釋의 要旨와 그 意味 KCI 등재

The Major Points of Nam-dang Han, Won-jin's [Dae-hak] Interpretation & Its Significance

남당 한원진의 󰡔대학󰡕해석의 요지와 그 의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8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南塘 韓元震(1682-1751)의 󰡔대학󰡕해석 가운데 내용상의 요지를 적출하여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栗谷 李珥로부 터 싹트기 시작한 大全本 小註에 대한 비판과 주자의 여러 설을 辨正하여 定論 을 정하려 했던 점을 남당의 󰡔대학󰡕해석의 기본관점으로 보았다. 남당의 󰡔대학󰡕 해석의 요지로는 經一章의 ‘明德’ ․ ‘六事’ ․ ‘本末始終’에 대한 해석, 止於至善章 을 知止 ․ 能得과 연관시켜 해석하고 제4,5절을 明明德의 止於至善과 新民의 至 於至善으로 해석한 것, 聽訟章의 本末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 誠意章의 ‘自欺’에 대한 해석, 正心章을 主靜工夫로 보는 해석, 修身章을 성의장 ․ 정심장과의 연속 적 맥락에서 파악한 것, 齊家治國章을 推 ․ 化의 구조로 본 것, 治國平天下章의 ‘絜矩’를 辨正한 것 및 새롭게 分節을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남당의 설은 상당 부분 주자의 설을 더 심화 발전시킨 것이며, 주자의 여러 설을 변정하여 정설을 확정한 것도 있고, 전 제10장의 分節처럼 주자의 설 과 다른 설을 개진한 것도 있다. 남당의 󰡔대학󰡕해석은 주자학적 󰡔대학󰡕해석 가 운데 가장 정밀한 해석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남당의 설이 발표됨으로써 다시 이 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어 한층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되 었다. 이런 점에서 남당의 󰡔대학󰡕해석은 우리나라 󰡔대학󰡕 해석사에서 끼친 공 헌이 지대하며, 그 위상 역시 중요한 자리를 점한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n inquiry into the feature and significance in the abstraction from Nam-dang(南塘), Han, Won-jin's(韓元震, 1682-1751)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I regarded the basic viewpoints of Nam-dang's [Dae-hak] interpretation as the fact that he criticized for the minor annotation(小註) in [Dae-jeon-bon(大全本)] which derived from Yul-gok(栗谷), Yi, Yi(李珥) and tried to set a widely-accepted notion after referencing various theories. The major points of Nam-dang's [Dae-hak]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1. The interpretation upon 'Myeong-deok(明德)'․'Yuk-sa(六事)'․ 'Bon-mal-si-jong(本末始終)' in Gyeong-il-jang(經一章) 2. The related interpretation of Ji-eo-ji-seon-jang(止於至善章) with 'Ji-ji(知止)'․'Neung-deuk(能得)', and the interpretation the 4th and 5th paragraph to 'Ji-eo-ji-seon(止於至善)' in 'Myeong-myeong-deok(明明 德)'&'Sin-min(新民)' 3. The deep interpretation upon 'Bon-mal(本末)' in Cheong-song-jang (聽訟章) 4. The interpretation upon 'Ja-gi(自欺)' in 'Seong-eui-jang(誠意章)' 5. The interpretation that regarding 'Jeong-sim-jang(正心章)' as 'Ju-jeong-gong-bu(主靜工夫)' 6. The logical connection from 'Seong-eui-jang(誠意)'․'Jeong-sim-jang (正心章)' to 'Su-sin-jang(修身章)' 7. Regarding 'Je-ga-chi-guk-jang(齊家治國章)' as the construction of 'Chu(推)'․'Hwa(化)' 8. The demonstration of 'Hyeol-gu(絜矩)' in 'Chi-guk-pyeong-cheonha- jang(治國平天下章)' and its new partition. These were the Nam-dang's own advanced and deepened theories compared with Zhuxi(朱熹:1130-1200)s'. There were various theories like the results from the way of demonstrating Zhuxi's one or his own theory such as the partition of 10th paragraph. It can be called that Nam-dang's [Dae-hak] interpretation is one of the minutest interpret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his interpretation can be evaluated that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history of [Dae-hak] interpretation and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大學󰡕解釋의 基本觀點
1. 經學에 대한 觀點
2. 󰡔大學󰡕解釋의 基本觀點
Ⅲ. 󰡔大學󰡕解釋의 要旨와 그 意味
1. 새로운 大學圖 작성
2. 經一章 해석
3. 止於至善章 해석
4. 聽訟章 해석
5. 誠意章 해석
6. 正心章 해석
7. 修身章 해석
8. 齊家治國章 해석
9. 治國平天下章 해석
Ⅳ. 맺음말
저자
  • 崔錫起(경상대 한문학과) | 최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