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s of eluted and dissolved CO2, and CO, volatile organic substances and radiation composition of Cheongsong mineral water which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9 to July 2020 during the autumn, spring, and summer seasons at collection points loca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spring waters. Data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spring waters include the following: the amount of eluted water (average value±standard deviation, mL/min) was 30.07±0.52, 15.03±0.16, 23.73±0.42, and the amount of CO2 gas was 1,000 ppm or more. In addition, there was no detection of CO or total volatile organic substances (TVOC) and the radiation dose was 0.08 to 0.13. μSv/h. A blank test value of 0.08 to 0.10 μSv/h, when compared with the median value, showed a high value of 0.02 μSv/h, and the uranium test results provided by the Cheongsong-gun Office were 0.0118 mg/L (date 2019.06.18) and 0.0091 mg/L (date 2020.06.04.) respectively, which was less than the permission limit of 0.03 mg/L. However,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using more precise devices is needed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water.
        4,000원
        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와 기원지 변화를 밝히기 위해 청송 세계지질공원의 지질명소인 백석탄(일직층), 만안자암(점곡층), 신성리(사곡층) 지역에서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U-Pb 연령측정을 실시하였다. 일직층에서는 백악기 저어콘이 발견되지 않고 쥐라기와 트라이아스기의 저어콘이 대부분이며, 선캄브리아 시대의 저어콘은 드물게 산출된다. 반면 점곡층과 사곡층은 백악기와 쥐라기, 고원생대의 저어콘이 우세하며 유사한 연령분포를 보인다. 점곡층과 사곡층의 백악기 저어콘에서 각각 103.2±0.3 Ma와 104.2±0.5 Ma의 가장 젊은 가중평균연령을 구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점곡층 및 사곡층의 퇴적시기는 앨비안에 해당된다. 쇄설성 저어콘의 연령분포는 일직층과 점곡층 사이에 기원지의 중요한 변화가 있었음을 지시한다. 일직층은 주로 주변의 관입암체에서 퇴적물이 공급된 것으로 보이지만, 점곡층과 사곡층은 일본 남서부의 쥐라기 부가대의 비교적 젊은 퇴적단위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
        6,700원
        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성덕댐 건설 과정 중에 육상곤충의 군집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덕댐 건설공사 구간의 5개 지점에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연 4회씩 총 16회에 걸쳐 육상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6목 111과 453종 8,36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한국 고유종 25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31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종수 비율은 딱정벌레목(175종, 38.63%), 노린재목(101종, 22.30%), 매미목(41종, 9.0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매미목(2,615개체, 31.28%), 딱정벌레목(2,393개체, 28.62%), 노린재목(1,881개체, 22.50%)의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평균우점도(DI)는 0.439, 다양도(H')는 3.277, 균등도(E')는 0.758, 풍부도(R')는 4.958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 일본멸구(Stenocranus matsumurai),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등으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군집분석 결과, St.3, St. 4지점에서 연차에 따라 우점도가 증가하고 균등도, 다양도, 풍부도가 감소하여 군집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지속적인 공사로 인한 환경교란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basic study of Cheong-song mineral water, which has high contents of Ca and Mg for making noodles as well as for general cooking. The test results of the noodles manufactured and cooked with mineral water were compared to those manufactured and cooked with distilled water and tap water. Noodles manufactured with mineral water showed higher values than others in the cooked weight, volume, water absorption ability, turbidity, lightness (L) and redness (a) on the minus scale. This means that we can manufacture cooked noodles that have high weight, high volume, high water absorption ability and high lightness (L) along with a slight green color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Cooked noodles manufactured with mineral wa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oked weight and volume compared to those manufactured with distilled water. Also, cooked noodles manufactured with mineral wa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absorption, turbidity,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compared to those manufactured with distilled water and tap water. Commercial noodles cooked in mineral wa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oked weight and redness (a) compared to those cooked in distilled water and tap water. Further, commercial noodles cooked in mineral wa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volume and brightness (L) compared to those cooked in distilled water.
        4,000원
        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동시, 영덕군, 의성군, 청송군 일대 총 17개 지역에서 2010년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노린재목과 매미목 분포를 쓸어잡기법으로 정량 조사한 결과 노린재목은 16과 82종, 매미목 13과 78종이 채집되었다. 그리고 노린재목에서 소금쟁이과 1종, 쐐기노린재과 3종, 장님노린재과 22종, 침노린재과 3종, 실노린재과 3종, 뽕나무노린재과 1종, 긴노린재과 10종, 허리노린재과 7종, 호리허리노린재과 1종, 잡초노린재과 4종, 알노린재과 2종, 뿔노린재과 5종, 땅노린재과 1종, 광대노린재과 1종, 억세노린재과 1종, 노린재과 17종이 채집되었고 매미목에서는 쥐머리거품벌레과 1종, 거품벌레과 5종, 뿔매미과 4종, 매미충과 45종, 큰날개매미충과 3종, 긴날개멸구과 1종, 줄강충이과 1종, 좀머리멸구과 1종, 꽃매미과 1종, 상투벌레과 1종, 장삼벌레과 4종, 멸구과 8종, 매미과 3종으로 총 160종이 채집되었다. 한반도 전체의 노린재목 687종중 11.9%인 82족과 매미목 501종중 15.6%인 78종이 채집되었다. 이 중 노린재목 1종과 매미목 7종이 한국특산종으로 조사 되었으며 주로 의성군에서 채집되었다.
        10.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송 주왕산지역 대전사 현무암의 산출 상태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암석기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야외 조사 결과, 주왕산 화산암체의 최하부층에 해당하는 대전사 현무암층은 전체적으로 12매의 용암과 9매의 페페라이트가 교호하며, 각 용암과 페페라이트의 암층의 두께는 다양하다. 본 층에서 나타나는 페페라이트는 현무암과 세일이 혼합되어 있으며, 현무암은 쇄설의 형태로 나타나고 세일은 현무암의 기질을 메우는 간극상을 이룬다. 이는 용암이 분출하여 고화되지 않은 젖은 세일층 위를 흐르거나, 관입으로 인해서 용암과 퇴적물 사이의 접촉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페페라이트는 조직상으로 구상 페페라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현무암류는 육안으로 반정이 관찰되지 않으며 기공이 없는 치밀한 현무암이지만, 한 단위의 용암층 내에서 상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경하에서의 현무암류는 주된 반정 광물로 가상의 감람석을 가지며, Mg#이 높은 암석에서는 사장석과 단사휘석의 반정도 보인다. 석기는 주로 서브오피틱 조직을 보이지만, 국지적인 냉각률의 차이로 인한 오피틱 조직과 인터그래뉼라 조직도 관찰된다. 사장석은 대부분 라브라도라이트(An55.0∼67.7)이며, 일부 안데신(An44.3)과 바이토우나이트(An74.5)로 분류된다. 단사휘석의 평균 조성은 Wo41.6En45.1Fs13.3으로써 보통휘석에 해당한다. 불투명 광물은 티탄자철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4,000원
        1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achieve the slow-city planning based on resources in Cheongsong-gun. To this end, the natural landscape and old houses of the village set up potential of the core, and three complementary elements were traditional food and traditional crafts, nature trails. The vision and objectives were established, characterization plan by spacial areas was considered. The actionable items of the project by divisions such a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resources, old house villages, traditional crafts, traditional foods, landscape composition, social awareness training, to attract visitors, slow-city environmental policy, were proposed. And step-by-step implementation plan was proposed, Division of roles between public authorities and resident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was considered.
        1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lan a distinctive apple theme park, thereby specializing the nationwide brand of Cheongsong apple. Detailed objectives included: to establish the best possible environments in Korea to taste and appreciate apple and enjoy the Cheongsong Apple Festival; to identify and foster natural, cultural and social resources in the clean environment of Cheongsong; to clusterize research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s for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and to develop a hub for the vitalization of the region where visitors and locals can mutually prosper. The study was multi-phased. The first stage included basic surveys such as local status and environment analysis and similar case studies, and the second stage was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me selection, develop basic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goals and review and incorporate project details. And the third stage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from spatial plans and program plans and suggest plans to 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park.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site was 180,150m2, which was divided into four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land use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s, for developing a land use scheme. The four areas were named: the apple-theme cultual area; the agricultural culture experience area; the plaza for exchange and harmony; and the plaza for natural observ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erve as a case to develop farm theme parks, and as a case of appropriat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dentify amenity resources with a focus on the existing resources an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