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후산의 附錄은 퇴계의 聖學十圖보다 더 과격한 主理를 피력하고 있는가 KCI 등재

The Philosophical Difference between T'oegye and Husan in the Interpretation of Songhak sipdo(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후산의 부록은 퇴계의 성학십도보다 더 과격한 주리를 피력하고 있는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5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后山許愈의 저작 가운데 聖學十圖附錄이 있다. 이 책은 心經附註의 예
에 따라 성학십도를 부록한 것이다. 선배 주자학자들의 글 가운데 보완 해설이
될 만한 글을 싣고, 논란이 될 만한 부분에는 특히 스승인 한주 이진상의 학설을
끌어다 썼다. 다행스럽게도 자신의 입장을 총론격으로 제시한 統論이 남아 있어
그의 독자적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는 퇴계와 성학십도를 따라 분명
한 주리적 입장에 선다. 그는 氣가 간여하는 차이와 갈등 등을 고려해야하지만, 중
요한 것은 우주의 근본이고 마음의 본체인 理라고 말한다. 이 源頭에 대한 이해
없이, 현실에 매몰되거나 의론부터 앞세워서는 아니된다고 말한다.
여기까지는 퇴계의 주리와 별로 다르지 않은 것같다. 그렇지만 그는 한 걸음을
더 나가는데, 氣의 현실적 제약을 퇴계보다 더 가볍게, 낙관적으로 본다는데 있다.
가령, 그는 사단뿐만 아니라 칠정조차 理發이라고 말한다. 일찍이 성호 이익이 이
주장을 편 바 있다. 퇴계는 理氣의 대치를 주목하고, 둘을 균형있데 다루고 있는
데, 후산은 理쪽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는 互發이 理氣의
대치와 갈등이라기보다 조화와 협력을 뜻한다고 말하는 점에서 낙관적이다. 그리하
여 그는 스승을 따라 과감하게 心卽理를 주창한다. 이 주장은 당대의 특히 방산
허훈으로부터 양명학과 선의 주장과 다를 바 없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 지경은 참
곤혹스럽다. 왜냐하면 후산 자신, 가장 극력하게 비난하는 대상이 양명학과 선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자신을, 다른 누구도 아닌, 가장 비난하는 대상과 같다고 손가락
질하는 것을 그는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이들 사이를 어떻게 갈라볼 것인가. 퇴계와 후산, 그리고 양명과 禪사이의 차이
를 어떻게 갈라볼 수 있겠는가. 나는 퇴계의 자리를 주리의 전형으로 보고, 후산에
게 ‘과격한 주리’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논평을 맡은 최석기교수께서 이의를
제기했다. 또 나중 최재목교수는 후산의 심즉리와 양명의 심즉리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있다고 조언해주었다. 그들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고 갈래를 정돈하는 일은
좀 더 뜸들기를 기다리고자 한다.

Husan Heoyu, a nineteen-century Confucian scholar in Korea, annotated T'oegye's brief manual on Confucian self-cultivation entitled Songhak sipdo. Though the book was made up mostly of excerpts from famous Neo-Confucian scholars, he left an outline of his ideas and an apology for his arbitrary choice. He advocated li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s well as the real nature of human being. In this sense, he agreed with T'oegye's chuli (主理), Li-dominant School, but we should not overlook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egye took a balanced view of li(理) and ch'i(氣), in other words, he recognized the weight and power of the physical element with regard to the attainment of sagehood, and this consideration resulted in the theory of hobal(互發, mutual issuance). Husan thought less of the obstacle of physical element than T'oegye did, so he advocated that all the sentiments, emotions--and perhaps even the passions--be the issuance from li,regardless of the four beginnings or seven emotions. He went one step further on the standpoint of T'egye's chuli, which I call “radical chuli.” His radicalness was reproached by his contemporaries such as Pangsan Heohun who severely criticized Husan's optimism in that it would lead to laissez-faire because Husan's catchphrase simjeukli(心卽理)--literally the same as proclaimed by Wang Yang-ming--actually values and hails all the things human regardless of whether cultivated or not, good or bad, right or wrong. Husan didn't agree with this kind of non-sympathetic misunderstanding. He vehemently refused to have his thought be identified with Wang Yang-ming and Zen Buddhism. What a predicament we are caught in! Then let's ask, “Can we discern the difference among these four thoughts” : T'oegye, Husan, Wang Yang-ming, and Zen Buddhism? Now the hard task awaits us.

목차
1. 倚樣과 折衷으로 학문하던 시대
2. 성학십도부록의 구성과 편집 체제
3. 후산 統說의 과격한 主理론
4. 聖學十圖의 主理와 附錄의 主理사이
5. 후산의 주리론은 양명학에 다가섰는가
6. 최석기 교수의 논평과 내 管見
저자
  • 韓亨祚(韓國學中央硏究院) | 한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