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기옹 금령의 한시연구 -간정일록의 유배시를 중심으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257
  • DOIhttps://doi.org/10.14381/NMH.2015.12.30.48.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간정일록은 해기옹 김령이 단성항쟁의 주모자로 체포되어 1862년 6월 4일부터 1863년 12월 30일까지 전라도 임자도에 1년간 유배되었 다가 해배되어 고향으로 돌아와 지낼 때까지의 일상을 기록한 유배일 기이다. 한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이 겪은 일들을 기록하기 시작 한 며칠을 제외하고, 날짜에 따라 매일의 일상을 행간의 구분 없이 기록 하였다. ‘간정’이란 『주역』에 나오는 말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마음을 바르게 가진다면 허물이 없어진다[간정무구]’는 의미이다. 간정일록에는 130여 편의 한시가 실려 있다. 그 시들은 벗들과 술자리에서 수창할 때, 마음속의 회포를 풀려고 할 때, 주위의 요구가 있을 때, 잠을 이루지 못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지어진 것들이다. 이 시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김령의 인간적인 면모들이 담겨 있다. 김령은 단성항쟁을 주도하며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남긴 문집이 없음으로 인해 그의 면모를 알 길이 없었다. 간정일록의 한시에는 온유돈후한 가장의 모습, 현실의 부조리에 대 해 개탄하는 유자(유자)의 모습, 고뇌를 타개해 나가려는 지식인의 모습 등 알려지지 않았던 김령의 인간적인 면모들이 나타나고 있다. 김령은 강자에겐 강직하며, 약자에겐 온유한 인물로 약자 편에 서서 현실적인 부조리를 개선하고자 했다. 간정일록에 수록된 한시에 나 타난 이러한 김령의 인간적 면모들을 보면 그가 단성항쟁을 주도한 그 이면을 알 수 있다.

Ganjeongilrok is an exile journal of Haegiong Kim Ryeong,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he was arrested as the leader of Danseong Strife, through the year when he was exiled to Island Yimja, Jeolla Province between June 4, 1862 and December 30, 1863, to the years in his hometown after his exile was lifted. It is a single-volume book, in which he wrote down his daily life every day with no space between the lines except for the first couple of days since he started to record his experiences. The term "Ganjeong" was borrowed from Zhouyi, meaning "There will be no collapse if you keep your mind right even in hardship"[Ganjeongmugu]. There are 130 Chinese poems in the journal, and he created them at diverse occasions when he became the first one to write and read a poem while drinking alcohol with his friends, tried to unburden himself mentally, received a request from people around him, and had trouble falling asleep. Those poems reflect his human aspects that had not been known to the world. Kim Ryeong left a huge legacy in history, leading Danseong Strife. It was, however, impossible to understand him since he left nocollection of his works. His Chinese poems in the journal depict his human aspects that had not been known much including the ones as the head of household that was gentle and kind, as a Confucian scholar that deplored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and as an intellectual that tried to resolve his anguish. He was strong to the powerful and gentle to the weak, trying to improve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on the side of the weak. His human aspects reflected in his Chinese poems in Ganjeongilrok also reveal the hidden side of his leadership in Danseong Strife.

저자
  • 이영숙(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Lee, Young-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