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권역 삼나무조림지의 식생구조와 생장특성에 관한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5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남부지역의 효율적인 삼나무 임분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m×20m 규모의 총 67개 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층위별 식생 및 임분구조 조사에 따른 군락유형 및 생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삼나무군락(C1)과 삼나무-편백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삼나무-편백군락은 다시 졸참-곰솔 군락(C2), 졸참-편백군락(C3)으로 구분되었다. 교목층 삼나무의 중요치는 C1 97.2%, C2 80.7%, C3 47.6%로 유형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는 C1 8.9%, C2 15.2%, C3 5.7%로 C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3의 경우 아교목층에 솜대 및 이대가 나타나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관 목층의 경우 C1 9.2%, C2 7.0% 이었으나, C3에서는 삼나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목층의 종다양도는 C1이 0.059로 가장 낮았으며, C3에서 0.548로 가장 높았다. 우점도는 C1에서 0.958로 나타나 삼나무 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3은 우점도가 낮게 나타나(0.393) 다수의 종이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평균직경연년생장량은 7.01(C2)∼8.04(C1)mm/yr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관리방안은 C1의 경우 경쟁목제거, 가지치기, 솎아베기가 적합하며, C2의 경우 경쟁수종 제거를 통한 삼나무 전형 군으로의 유도 및 수하식재를 통한 타 수종으로의 갱신이 더욱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forest management plan for the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in southern inland and Jeju island in Korea. Sixty seven circular sample plots of 0.04ha were established and we surveyed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from three layers(upper, middle, and lower).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btained by importance values of each tree species, the community type of C. japonica stands were classified into C. japonica group(C1) and C. japonica-C obtusa group. C. obtusa community were also sbudivided into P. thunbergii-Q. serrata group(C2) and Q. serrata-C obtusa group(C3). In tree layers importance value(IV) of C. japonica were 97.2% in C1, 80.7% in C2, and 47.6% in C3 and in sub-tree layers IV were 8.9% in C1, 15.2% in C2, and 5.7% *Correspondingin C3. Especially in C3 there are bamboo species (Smilacina japonica var. lutecarpa and Pseudosasa japonica) it is necessary for us to control them. In shrub layers C. japonica were found in C1(9.2%) and C2(7.0%), but except for C3. In tree layer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each community ranged from the lowest 0.059 in C1 to the highest 0.548 in C3. Dominance ranged from 0.958 in C1 to 0.393 in C3 which may caused by interspecific competition. Current annual increment of diameter growth ranged from 7.01mm/yr to 8.04mm/yr. As a result of our study we recommend the application of proper thinning and pruning for C1 and C2.

저자
  • 박준형(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Joon hyung Park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Kwang Soo Lee
  • 주남규(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Nam Gyu Ju
  • 강영제(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연구소) | Young Je Kang
  • 유석봉(전남산림자원연구소) | Suk Bong Ryu
  • 유병오(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Byung Oh Yoo
  • 박용배(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Yong Bae Park
  • 김형호(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g Ho kim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Su Young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