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학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복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 - Focused on intellectual dis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장애학에 관하여 현재까지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모델로의 성장과 장애학의 새로운 변모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사회복지가 인간과 환경 을 고려하여 인간의 욕구에 부응하여 삶의 과정에서 성취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한 모델은 ‘전인적인 재활’을 의미하며 이것은 의료적 재활, 심리적 재활, 교육적 재활, 사회적 재활, 직업적 재활이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장애서비스의 구현을 의미한다. 이것은 과거의 능력주의에서 비롯된 기능위주의 개념정의로부터 탈피하여, 보다 사회복지학적인 차원에서 장애인의 권리와 의사결정을 보다 존중하는 패러다임으로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현대사회적인 조류에서는 장애학에 있어서 사회적 역할강화 모델과 자립 생활론이 대두되고 있으며 장애인 문화역시 수요자 중심의 욕구 존중을 기 반으로 한 장애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장애를 바라보는 우리사회에서는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향후 다원적인 패러다임으로 장애인도 문화도 새로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인 식이 수렴될 때 진정한 장애학의 진보가 이루어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은 장애문화, 장애 정체성, 장애 개성을 지닌 새로운 이미지로 정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것은 사회적으로도 적극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은 신체적으로 잘못된 개념이 아니라 다름의 개념으로 수용되어져야 하며 인간으로서의 자부심과 위엄이 존중 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될 때에 장애인은 자연스럽게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각종 장애인 인식이나 장애인 복지 역시 긍정적이고 평등한 개념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We examined disability studies through this essay. A social atmosphere needs to be established where we, in pluralistic paradigm should socially and culturally respect the human rights of disabled people by not having a dichotomous view on them but considering them as the cultural producers and consumers in our society. This signifies that disabled people were recognized as objects in our cultural society, but now they have their own identities and need to become more independent members who can enjoy their own rights in the society. When this social awareness converges, we will be able to make real progress in disability studies in Korea. In other words, we need to establish a new image for disabled people who are not anymore considered as the objects of the old prejudices and sympathies, and this kind of disability culture needs to be strongly encouraged. There are currently various facilities regarding the disabled people which provide services and information to adults 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ever, there needs to be a careful discussion at this point to check if the current delivery system provides effective services meeting the needs of the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in Korea. Also, it is true that there should be a social consensus between the different social views towards this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grated and harmonious community for both disabled people and non-disabled people. This will be potentially a criterion that measures the maturity of our society as welfare country, and what “social support” means is providing a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support including rehabilitation, education, job training, emotional support, encouraging social publicity in efforts to improve the social awareness, economic support and other system improvements. However, there are a lot improvements to be made for the services provided in Korea in terms of the delivery system due to the lack of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Thus, there needs to be a consumer based discussion to find out if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ving and the living standards of the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through the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곽미정(김포대학교 사회복지과) | Kwak, Mi-Jung
  • 김태동(김포대학교 사회복지과) | Kim, Tae-D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