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추사의「세한도」에 나타난 불교적 미학의 세계 KCI 등재

A Buddhist Aesthetic in「 Sehando」of Choosa Kim Jeong-hu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추사의「세한도」에 나타난 예술세계를 불교적 사 유의 미학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 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세한도」는 추사가 제주 도 유배지에서 외로움과 고독, 절망의 끝에서 창작된 그의 예술세계 의 절정을 보여주는 수묵화이다. 여기에는 이무 것도 그리지 않은 듯 한 그림 저편에 실로 형언할 없는 사건과 얼룩진 트라우마와 당대의 풍경이 존재하고 있다. 즉 제자 이상적의 변함없는 마음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송백(松柏)에 비유하여 그린「세한도」에는 사제지간의 석 교(石交)의 깊은 정이 담겨 있다. 「세한도」에 내재된 중요한 코드 중의 하나는 불교적 사유의 미학이 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추사와 이상적과의 깊은 우정을 담아낸 「세한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텅 비어 고요하며 탈속과 성찰, 그 리고 비움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불가의 선적 사유를 드러내 보인다. 이는 간결, 비움, 과감한 생략 등 선적 인식을 바탕으로 시·서·화 를 융합시켜 선과 각 예술의 이치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말해 준다. 간결하면서도 모든 것이 걸러지고 생략된 비움의 정신이 깃든「세한 도」는 구도에 가까운 염결성과 사제지간의 석교의 아름다움이 내재 되어 있다. 이처럼 추사가 문기의 경계를 넘어 선기가 충만한 선적 그림을 남긴 것은 그가 선의 세계에 깊이 침잠한 삶을 살았기에 가능 한 것이었다. 「세한도」의‘후조(後凋)’의 정신은 추사 한 사람만의 감 회가 아니라 조선의 모든 선비들의 정신이자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 야 할 정신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s is to trace a Buddhist aesthetic in 「Sehando」(A Winter Scene, ink painting) of Choosa Kim Jeong-hui(1786~1859) and the meaning of it’s message to give to us today. In「 Sehando」, are there Choosa’s painful trauma and periodical situation beyond description due to his involvement in political issue. In other words, 「Sehando」was created under Choosa’s extreme loneliness, solitude, and hopelessness while he was in exile in Jeju. In particular, Lee Sang-jeok(1804~1865), his pupil of government interpreter, served him with unfailing and whole heart. So, he painted 「Sehando」as a token of appreciation, comparing his pupil’s unfailing fellowship to the pine and the nut pine. The focal point is that one of important codes in「 Sehando」is the Buddhist aesthetic because it is not a simple painting but zen-thought one based on simplicity, unworldliness, introspection, and emptiness. That is, Choosa created 「Sehando」full of zen energy, which was possible due to his zen-thought and life. Consequently, 「Sehando」fully reveals that Zen and art theory is not different by merg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rough brevity, emptiness, and daring ellipsis. Furthermore, the unfailing fellowship shown in 「Sehando」is a typical model not only for learned men of Joseon era but also for us today.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추사의 불교적 사유의 형성과 발현 양상
III. 추사의「세한도」에 나타난 불교적 미학의 세계
IV. 나오는 말
저자
  • 백원기(동방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교수) | Baek, Wo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