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呼吸養生法의 文獻的考察 KCI 등재

A Study on Literature Review of Yangsaeng Breathing in Korea

우리나라 호흡양생법의 문헌적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는 양생(養生)에서 주요한 방법인 호흡법의 고찰을 통해 과거 선인들의 건강 인식과 실천을 살펴보고 현대적 의의 를 점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생에 대한 개념과 선인들의 양생 인식을 시대 상황 속에서 살펴보았다. 양생 중 에서 호흡은 단순히 생명 유지만을 위한 수단이 아닌 건강관리 의 주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호 흡의 정의와 작용부터 시작하여 역사적으로 호흡법을 실천한 인사들을 다루었다. 조선시대는 성리학이 지배하여 정신적 가 치를 우위에 두었기에 호흡법을 통해 맑은 정신을 유지하는 방 편으로 애용되었다. 특히 주자(朱子)를 신봉하였기에 그가 주장 한 ‘조식잠(調息箴)’은 사대부들 사이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호흡법은 도가적 색채가 강한 양생인데, 이를 유가들이 적극 수용했다는 사실은 실용적인 이중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그들의 탄력적 사고를 보여준다. 호흡법 중 ‘태식(胎息)’은 이들이 가장 중시한 것으로, 일찍이 복식호흡이 지닌 가치를 인식한 증거라 하겠다. 한편으로 ‘태식’은 인간이 자기 존재의 출발점으로 회 귀하려는 본성에 대한 갈망으로 성리학이 추구한 근본사상과 상통되었다. ‘태식’이 지닌 건강학적 가치는 오늘 날에도 여전 히 유효하며, 바쁜 현대인들에게 명상으로 숨 쉬고 있다. 문헌 에 나타난 선인들의 호흡은 그것이 일상이었음을 보여주며, 성 리학의 수양과 맞물려 장려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이 호흡방법에 치중하였던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호흡의 자세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호흡 양생법은 모두가 공통적으로 사상과 종교를 초월한 유⦁불⦁선 이 융합된 동양학의 총체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check health awareness and look at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good practices of the past through a review of the main methods of curing breathing in Yang-Sseng(; Curing, 養生). We looked for a recognition of the concept and the good cure for the curing conditions in the period. Curing can be seen from breathing are simply accepted as the only means major concepts of health care for non-life-support. Starting with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the respiratory addressed to it by the personnel who practice breathing in history. Joseon Dynasty, Confucianism was favored as a way to keep a clear mind through breathing placed in groups dominated by the superiority of spiritual values. Espouse a particular case of Zhu Xi (朱子) who claimed 'Jou-Sic-Jam (調息箴)’. it was actively accepted among the gentry. Breathing is strong curing especially for the Daoism, it shows the fact that Confucianism will embrace their flexible thinking as a practical example of duality. One of the most focused breathing is called Taesik (胎息) and the evidence will ever recognize the value with the breathing. On the other hand, ‘Taesik’ was equal and fundamental with Confucian ideology that was the pursuit of human nature to yearn for a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of his existence. And ‘Taesik’ has still valided for health value today, and breathing meditation for busy modern people. Breath of our ancestors appeare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it been a day-to-day, it can be seen that encourages engagement and discipline of Confucianism. When China focused on breathing method, our country focused on the attitude of breath. However, it will all breathe curing is commonly call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at transcends ideological and religious lines.

목차
I. 시작하면서
II. 호흡의 개념과 방법
Ⅲ. 태식법
Ⅳ. 문헌에 나타난
사대부의 호흡법 사례
V. 마치면서
저자
  • 이정상(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수료) | Lee, Jung 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