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삶의 이해, 도덕과 윤리로서의 命理 -學術로서의 命理學의 성립을 위한 변명- KCI 등재

A Study on the Theory of Fortune as an Ethic and a Morality in the Living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세계의 변화와 인문학의 대응 그리고 문화의 창달 등등은 상 호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오늘 포스트모던의 시대에서 우리는 과거 인류가 경험하지 못했던 숱한 변수들을 고려하면서, 현재 적인 결단과 실천을 내려야만 한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전 통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전승되어 왔던 많은 가치와 의미들 또 한 지켜나가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곧 전승하는 가운데 창발 하고, 창달하는 가운데 전승해야 하는 것이다. 인식하는 존재 요, 지적 생명체로서의 인간은 무작정 인생을 살아갈 수만은 없다. 적어도 왜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나름의 이해는 있어 야 하기 때문이다. 실존철학은 인간 삶의 구조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해준다. 인간의 존재양식은 다만 실존적인 것이며, 인간은 자신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선택하고 결단해야 한다. 결단에 대한 책임 또한 자신의 것이다. 그러나 최종의 지점에서 만나게 되는 것 은 결국 죽음일 뿐이다. 삶과 죽음을 이해하고, 정신과 육체라 는 이중적 조건을 지닌, 지적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생사라는 과제와 만나 스스로의 최선을 다한 ‘인위의 총체’로써 문화는 등장한다. 결국 문화란 삶에 기반을 둔 생활의 지혜로 기능하 며, 이는 궁극적으로 생사에 관계하고 있다. 인간 생사와 더불어 명리를 본다. 명리란 결국 사람의 命에 어떤 이치가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것이 學이 아닌 術 로 변질되어 왔음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이 그렇게 홀대받아야만 할 이유는 사실상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 면 인간의 삶과 죽음이 결국 운명적인 것이라 한다면, 이에 대 해 다른 학문들 역시 별다른 대응능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생사에 대한 대응능력은 명리가 더 유능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세상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가 있다. 또 이 모든 形下의 세상은 본질적으로 形上의 근원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라는 전통적인 철학적 형이상학이 있다. 때론 神이라 는 명칭으로 더 잘 알려진, 이러한 원리의 궁극적인 자리에 대 해, 道家와 易에서는 無極과 太極을 말한다. 곧, 태극음양의 원 리를 현상 속에 반영한 象數學적 결론으로, 명리라 부르는 일 련의 推命學적 성과가 나타난 것이다. 오늘 현대사회의 불확실성 속에서, 마음의 평안과 미래에 대 한 꿈을 명리의 세계가 제공할 수 있다면, 이의 가치는 보다 새롭게 문화적으로 조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원히 굳세고 강하지 못함으로 잘 나갈 때 어려움을 대비하는 것이요, 못 나 갈 때라도 희망을 버리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약하고 못난 사람들과 함께 하고 그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 때, 비로소 命理가 말하는 인간 평등과 자유의지의 인간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를 도리어 ‘희망의 철학’이라 부르고 있 다.

There are many methods for knowing the fortune in the world traditionally. Here are also many skills and principles from ancient age in orient. It is the theory of Pa-ji(八字) or the reseach of fortune. I call it 'MyungRi-Hak(命理學: the study on the theory of destinies)' or 'the Faith of Prayer for Good fortune'. Perhaps fortune is the most mysterious in the human life. So we hope to know the secret of the fortune or destiny or fate. But it is not rational almost. From this, it has been treated that MyungRi-Hak is not valuable in scholastic world. But I think it is like to Taoism in common conditions. I-Jing(易經) said that the Cosmos don't rest for the living and living. Everything come and go, go and come. So to live is life and to die is also lif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value of life. Because to die and to live are the other phenomenons of one life. Nevertheless, he hopes to exist in the state which the vital energy is filled up. At last he hopes to expand the life and relations with the world. The purpose which he hopes may be to sublime the dimension of existence. To sublime is to pursue the final perfection of exist and life. In this case, here are Jeong(精), Ki(氣) and Shin(神). In other words, the one God acts the three realities. When a man has faith with the One, he will arrive at the condition of full activity and vitality. Though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God becomes a vital energy[氣 化:the changing energy in beings]. The God(Shin:神) and the Ki(氣) interchange mutually. Each has related and effected among. Anyway all of those knowledges are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the man's life. So I think that MyungRi-Hak is also significant. And I hope to study on the MyungRi-Hak deeper and deeper as the philosophy of living life.

목차
Ⅰ.포스트모던의학문과문화
Ⅱ. 철학, 인문학 그리고 문화
Ⅲ. 삶과 運命
Ⅳ. 道德과 倫理로서의 命理
저자
  • 민영현(부산대학교 교수) | Min, Young-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