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산거주 학생의 근시진행도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students who live in Il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성장기 학생의 근시진행도를 측정하고, 연령파 성별에 따른 특정을 분석하여 근시 발생과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 7-18세의 일산거주 초 · 중 · 고등학생 295 명 (590 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Topcon KR 7l00-P)를 실시하여 12 개월 동안 굴절상태의 변화를 비교 분 석하였다. 근시 안은 1 차 측정 시 336안 (56.95%) , 2차 측정 시 379안 (64.24%) 으로 43안 (7.29)% 증가하였고, 전체 대상에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평균은 1차 측정시 -1.558:f::2.382D 에서 -1.947 :f:: 2 .479D로 평균 0.37l:i::0.497D 큰시쪽으로 진행하였으며 (t 二2 1.1 13 , p 二 0.000), 굴절이상 변화량의 범위는 + 1.63 - -1. 88D 였다. 정시 빚 원시군(등가구면 굴절력 -0.75D 미만)과 근시군(등가구면 굴절력 -0.75D 이상)의 근시 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293 :f:: O.388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60 土0 .474D) 에서 변화도가 더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 = 4.542, p = 0.000이, 전체 남학생에서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변화도는 -0.345:f::0.48ID, 전체 여학생은 -0.389 :f::O.507D로 여학생이 근시쪽으로 더 진행하였으나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t = -1.053, p = 0.293). 전체 대상자에서 A그룹 (+4.00- -O.5OD)은 248안 (42.03%) , B그룹( -0.75--4D) 은 256 안(43.39%) , C그룹 (-4.25D 이상)은 86안 (14.58%) 이였고 6D 이상은 33안 (5.6%) 이였 으며, B그룹(중등도 근시군)에서 근시쪽으로 평균 변화도가 가장 높았고 세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 二12 .1 34, p = 0.000) 초등학생 의 굴절상대 분포에 서 1 차 빛 2차 측정 의 Skewness는 각각 g1 = ← 0.904士 0.140D, gl = -0.781 이 고 Kurtosis는 각각 g2 二1.170:f::O.280D, g2 = 1 .433 :f:: O.280D로 1년 동안 굴절이상도가 0.85 :f:: 2.075D에서 -1. 32 :f:: 2.262D로 진행하였고, Platokurtic의 분포 를 보였으며, 연령이 높은 학생보다 12 세 이하의 학생에서 근시쪽으로 변화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쪽 변화도가 낮았고, 큰시군이 정시 및 원시 군보다 근시쪽으로 변화도가 높았으며, 남녀 사이에서는 여학생의 변화도가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국 학생은 이른 7~8세에 근시가 시작되고 근시진행은 미국과 유럽지역 학생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 학생의 굴절이상 변화를 이해하고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근시 예방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for further myopiapreventive research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refractive eπor in school students as a function of age and gender. Refractive error in school children(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n 二295, aged 7 to 18 years) was measured using the cycloplegic autorefraction, 12 months apart, in a longitudinal study. Myopia was defined as SE of -0.75D or less, emmetropia and hyperopia was defined as SE of -0.75D more. 336 eyes(56.95%) was myopia in the first measurement and 379(64.24%) in the second one which shows an increase by 43(7.29%). τ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increased significantly of -O.37l:tO.49D( -1.558:!:2.382D to -1.947:!:2.479D)(t:= 21.113, p 二0.0000), The range of change in refractive error was + 1.63D-to -1.88D. In comparison of myopia progression between non-myopic group(SE> -0.75D) and myopic group(SE 드 -0.75D), myopic group(mean -0.460:!:0.474D) showed higher myopia progression significantly than non-myopic group(mean -0.293:!:0.388D)(t:= 4.542, p:= 0.0000), and females showed higher myopia progression as -0.345:!:0.481D in males and -0.389:!:0.507D in females but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t = -1.053, p = 0.293). 248 eyes(42.03%) belonged to A group(+4.00--0.50D), 256(43.39%) to B(-0.75- -4D), and 86(14.58%) to C(over -4.25D), 33(5.6%) were below -6D, and there was the highest average change towards myopia in the B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f = 12.134, p = 0.0000) among three groups. In refractive state distribution among elementary students, Skewness and Kurtosis were g1= 一0.904 :!:O.140D and g2 = 1.170:!:0.280D in the first measurement and g1 := 0.781 and g2 二1.433:t0.280D in the second measurement. It índicates an increase of average from -0.85:!:2.075D to -1.32:t2.262D for one year, Platokurtic distribution, and a higher change towards myopia in aged under 12.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hange rate towards myopia is lower as older, higher in myopic group than in non-myopic group, and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but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Korea students develop myopia as early as 7 to 8 years old and myopia progresses at a greater rate compared with student of US and European extraction. We should understand the change of refractive error in growing students and a long-term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prevent myopia.

저자
  • 김정미(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Jeong-Mi Kim
  • 장봉순(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Bong-Soon Jang
  • 오현진(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나노과학과) | Hyun-Jin Oh
  • 최정훈(의정부성모명원) | Jeong-Hoon Choe
  • 마기중(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