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측정한 Gradient AC/A비를 비교 분석하여 3가지 사위측정법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2006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3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며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명(26.61±2.56세)(남자 32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자동굴절검사(KR-7100P, Topcon Co.)와 표준 자각식 굴절검사로 원거리 굴절 이상도를 측정하였고, 포롭터(Shin-Nippon BR-7), 시력표투영기(Topcon ACP-7), 시험테(FM580), 렌즈 홀더(Gulden Ophthalmics co.), 프리즘바(Gulden co.), 낱개 프리즘, MIM Card(Bernell co.) 등을 이용하여 본그래페법, 마독스봉 및 수정 토링톤법에 의한 사위도 및 Gradient AC/A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우안 -2.79±2.56D, 좌안 -2.69±2.65D였고, 난시도는 우안 -0.80±0.49D, 좌안 -0.93±0.71D였다. 대상자 전체의 사위도는 원거리가 -0.31±1.24△, 근거리가 -1.67±4.51△이었다. 포롭터를 이용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2.14△, MR(distance) -0.35±1.85△, MT(distance) -0.40±1.81△, VG(near) -2.63±4.64△, MR(near) -1.69±4.80△, MT(near) -1.78±4.52△이었다. 시험테로 측정된 사위도는 VG(distance) -0.69±1.96△, MR(distance) -0.32±1.77△, MT(distance) -0.40±1.82△, VG(near) -2.31±4.18△, MR(near) -1.60±4.51△, MT(near) -1.68±4.20△이었다. 제한된 공간에서 ±1D를 이용하여 측정한 Gradient AC/A비는 VG 3.32±0.81△, MR 3.07±0.61△, MT 2.74±0.29△이었고 자유공간에서 측정한 Gradient AC/A비는, VG 3.27±0.73△, MR 3.11±0.64△, MT 2.57±0.26△이었다. 각 측정법의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95% 일치구간은 포롭터를 이용한 VG 측정법이 3.04로 가장 넓었고 시험테를 이용한 MT 측정법이 1.42로 가장 좁아 신뢰도가 높았다. 결론: 이상으로부터 제한된 공간과 자유 공간에서 측정된 사위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Gradient AC/A비를 기준했을 때 VG 측정법과 MR 측정법보다는 MT 측정법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repeatability of heterophoria testing with free space and mechanical space. The subjects were 67 healthy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 of 20 to 34 (mean 26.11±2.56) years old. Methods: Refractive error in subjects was measured using the Auto-refractormeter (KR-7100P, Topcon Co.) and subjective refraction. Binocular vision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Phoropter (Shin-Nippon BR-7), Chart project (Topcon ACP-7), Trial Frame (FM580), Lens Holder Kit (Gulden Ophthalmics co.), Loose Prism, MIM Card (Bernell co.), Prism Bar (Gulden Ophthalmics co.). Results: The deviation was measured for viewing distance of 5m and 0.40m using both phoropter and trial frame.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in phoropter was VG (distance) -0.78±2.14△, VG (near) -2.63±4.64△, MR (distance) -0.35±1.85△, MR (near) -1.69±4.80△, MT (distance) -0.40±1.81△, MT (near) -1.78±4.52△.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in trial frame was VG (distance) -0.36±1.70△, VG (near) -1.43±4.00△, MR (distance) -0.08±1.54△, MR (near) -1.07±4.15△, MT (distance) -0.13±1.75△, MT (near) -1.24±4.46△. Mean values of gradient AC/A ratio with mechanical space measured using the VG, MR and MT procedures were 3.32±0.81△, 3.07±0.61△ and 2.74±0.29△. AC/A ratio with free space measured using the VG, MR and MT procedures were 3.27±0.7△, 3.11±0.64 and 2.57±0.26△.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phoria and AC/A ratio vary a little according to the phoria testing method, and amount of phoria measured in free space and limited space vary according to the procedures, but it is considered not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clinically. I think that ratios obtained using the MT showed the best repeatability, whereas the poorest repeatability was found with the 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