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한 근거리 주시시차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f Near Fixation Disparity by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근거리 주시시차와 사위를 측정하여 주시시차의 방향과 분포를 연구하고 주시시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시시차곡선의 3가지 변수 값을 구하여 양안시 이상의 진단과 처방에 응용하고자 한다. 방 법 : 안질환이 없으며 사시와 약시가 없고 근거리에서 수직사위가 없는 남녀 대학생 85명을 대상으로 완전교정 후 사위 및 주시시차를 측정하였다. 근거리의 완전융합제거사위는 Modified Torington Card를 이 용하였고, 주시시차는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하였다. 결 과 : 주시시차곡선 유형은 제 I유형 69.4%, 제 II유형 5.9%, 제 III유형 15.3%, 제 IV유형 9.4%로 나타 나 제 I유형, 제 III유형, 제 IV유형, 제 II유형의 순으로 많았다. 일부융합제거사위와 주시시차곡선의 기울기 가 주시시차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결 론 : 근거리 주시시차는 양안시 상태에서 버전스와 조절의 상호작용을 임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양안시 이상의 진단과 처방에 유용한 변수이다.

Purpose: We studied the direc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slope of a fixation disparity curve(FDC) after measuring fixation disparity and associated phoria at near distance and searched three results variable giving an effect on FDC. This study is expected to apply diagnose and prescription of binocular abnormality. Methods: We measured the dissociated phoria and the fixation disparity for 85 subjects at near distance. All subjects had a monocula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18/20 or better, had no strabismus as determined by cover test, had no vertical phoria by the Maddox rod method, and had no ocular history. The dissociated phoria measured Modified Thorington Method and fixation disparity measured with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at near distance. Results: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types fixation disparity curves was that prevalence of Type I (69.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ype III (15.3%), Type IV (9.4%), Type II (5.9%) at near distance. The fixation disparity at near distance was most effect on associated phoria and slope of fixation disparity.(p=0.000). Conclusion: The fixation disparity at near distance is valuable parameter in th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binocular vision disorder.

저자
  • 최지영 | Ji-Young Choi
  • 엄정희 | Jung-Hee Eom
  • 송선정 | Ji-Sun Kim
  • 김진영 | Sun-Jung Song
  • 김지선 | Jin-Young Kim
  • 윤미옥 | Mi-Ok Yun
  • 배현주 | Hyun-Ju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