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도, 아미노산 및 폴리아민이 고추의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mino acid and Polyamine on Pollen Germination of Pepper (Capsicum ann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노지채소 작물인 고추를 대상으로 이상 고온조건을 인위적으로 부여하여 화분발아력을 검정 하며, 이상 고온에서의 화분발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추에서 화 분 발아에 최적온도는 25℃였고, 27.5℃와 30℃에서는 화분발아율이 낮았다. 화분발아에 적합한 sucrose 농도는 10~15%였고, 30% 이상의 농도에서는 화분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화분발아 배지의 적정 pH 5.5 ~6.5였고 이들 조건에서 화분발아율이 높았고, 화분관 신장도 좋았다. 화분 채취시간에 따른 화 분 발아율은 채취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오전 10시에 채취한 화분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고, 반면 오후에 채취한 화분일수록 화분활력이 저하되었다.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인 asparagine과 glutamine를 첨가하면 고온에서 화분발아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폴리아민류인 putrescine 과 spermine도 화분 발아율을 향상시켰다. 전반적으로 고온에서 고추 화분발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첨가물질 및 처리농도는 supermine 1 mM 처리였고, 대조구에 비해 화분발아율이 15.0% 향상되었다.

Evaluation of pollen viability was conducted for peppers and methods for improving pollen germination under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were studied. Optimum temperature for pollen germination was 25℃, but percent germination decreased at 27.5℃ and 30℃. Concentration of sucrose and pH of the medium that is proper for higher pollen percent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was 10~15% and 5.5~6.5, respectively. Pollen percent germin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llen collection time during a day. Generally, pollens collected at 10 in the mor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 germination, while decreased pollen viability was observed as collected late in the afternoon. Pollen percent germination was improved when two amino acids, asparagine and glutamine were added in the pollen germinationmedium. In addition, putrescine and spermine also improved pollen percent germination. Overall, an additive and its concentration for enhanced pollen germination at high temperature in pepper was found in the treatment of 1 mM of supermine, which increased germination rate by 15.0% as compared to control.

저자
  • 김소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So-Hee Kim
  • 허유(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 Heo
  • 박은지(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Eun-Gi Park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eung-Gu Son
  • 최영환(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Whan Choi
  • 이용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ng-Jae Lee
  • 박영훈(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Hoon Park
  • 서정민(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Jeong-Min Suh
  • 조재환(부산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Jae-Hwan Cho
  • 홍창오(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Chang-Oh Hong
  • 이상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ang-Gye Lee
  • 강점순(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um-Soon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