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한 유무형 외식 상품 속성 연구 - 만두전문점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in Foodservice products by IPA - Focus on Dumpling shop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3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오늘날 외식 산업 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은 치열한 경 쟁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시장에 대한 환경 분석 및 고객의 요구 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인적 상호작용 이 많은 외식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편식 으로 다양한 소비자들이게 소비되고 있는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유무형 상품 속성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조 사하고,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 3일부터 2013년 7월 2일까 지 30일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 였고 총 540부 중 500부(92.6%)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 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형적 상품인 메뉴는 감각적 요인, 건강 요인, 위생 요인, 외적 요인 4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무 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속성은 응대 요인, 촉진 요인, 포장 요인, 시각적 요인, 공간적 요인 5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다. 메뉴 및 서비스의 속성의 요인분석 결과 모두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고 메뉴와 서비스 속성은 메뉴의 종류 및 운영형태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상품 속성으로 요 인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유무형 상품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대 응표본 t-검정으로 살펴본 결과 메뉴의 중요도 평균은 5.21, 성취도 평균은 4.89이며, 21가지 품질 항목 중 5개를 제외한 항목에서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 었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중요도 평균은 5.22, 성취도 평균은 4.77로 30개 항목 중 1개 항목을 제외하고 중요도, 성취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유무형 상품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메뉴의 감 각적 요인, 위생 요인은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고, 건 강 요인은 (3) 사분면(저순위), 외적 요인은 (2) 사분면(과잉), (3) 사분면(저순위)에 위치해 있었다. 메뉴 속성별 중요도-성 취도 차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현재 I.사분면(유지)에 위치해 있는 많은 속성들의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현재 메뉴의 속성이 (1) 사분면 (유지)에 속했다 할지라도 단순 유지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 행되어야 하겠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경우 응대 요인과 시각적 요인은 대부분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으며, 촉 진요인은 모두 (2) 사분면(저순위), 포장요인과 공간적 요인 은 다양하게 배치되었다. 다만 종업원들의 친절도, 매장 내 섭취, 대기 장소 품질 항목은 (4) 사분면(집중)에 위치한 만 큼 신속한 문제 해결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메뉴의 IPA 분석 결과와 같이 서비스도 현재 (1) 사분면(유지)에 위치된 많은 속성들이 중요도, 성취도간의 차이 크므로 현재 수준의 유지 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유무형 외식 상품의 속 성을 IPA로 분석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상품 속성과 과잉으로 투자되는 속성을 시각 적으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히 IPA 좌표에 나타난 속성만을 분석하지 않고 속성별 중요도 성취도 간의 차이 정도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 기에 한정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유무형 상 품을 동시에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후 외식업에서 실질적인 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외식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들을 대상 으로 한정적인 연구를 수행되었기에 동일한 아이템을 주력 상품으로 판매한다 하더라도 업체별 운영방식이 상이하고, 주요 고객 및 입지가 상이하여 고객들의 요구는 다를 수 있 다는 점이 연구 결과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 다 양한 타입별(프랜차이즈, 일반매장 등) 추가 조사가 필요하 며,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를 현장에 적용한다면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과 매출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This study utiliz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in order to improve and plan tangible (menu) and intangible (service) products at dumpling shops. Menu attributes for tangibl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sensory factor, health factor, hygiene factor, and external factor. Attributes for intangible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response factor, visual factor, spatial factor, package factor, and promotion factor. In IPA analysis of tangible products, sensory factor and hygiene factor were located in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Health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I (Low priority for management) and the external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 (Possible overkill). In IPA analysis of intangible products, response factor and visual factor were located in Quadrant I, whereas promotion factor was located in Quadrant III. The attributes related to kindness of staff and space for customers in the store were more important, but due to their low performance level, they were located in Quadrant IV (Concentrate management here). Thus, the product planner should improve attributes of the related product immediately.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s within the market is possible

목차
I. 서 론
II. 연구 내용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오지은(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Ji Eun Oh
  • 조미숙(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Mi Sook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