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 장인정원 설계 - 장인의 문화적 의미와 재현 - KCI 등재

Design of the Seoul Artisan Garden - Cultural Heritage of the Artisan and Its Spatial Representation -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7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한국의 사회, 문화유산이 녹아있는 서울의 문화적 가치를 재현함에 있어 장인의 기여가 현대에 와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우리 사회의 많은 디자인에 장인의 감각과 능력이 눈에 보이지 않게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서울시가 주최한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서 개최된 서울정원박람회에서 새로운 정원디자인의 목표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장인들의 작업 속에 나타나는 전통문화의 해석과 공간적인 특성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서울 장인정원 설계는 전통적인 서울문화를 장인의 개념을 통해 상징적으로 함축하여 공간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원에서는 사람으로서의 장인, 그들이 사용하였던 도구, 그들이 만든 공예품, 그들의 이미지를 자연으로 드러내는 4개의 장인 문화에 대한 층위개념을 설정하였다. 자연으로서 정원의 그라스와 꽃은 대비효과를 위해 큰 원형의 안과 밖에서 상호 관계 되도록 하였다. 장인의 상징적인 이미지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공예품의 배경으로 그라스를 사용하고 시각적인 오브제로서 관목 파티션의 반복과 꽃을 사용하였다. 이 설계의 메타포는 강한 시각적 호기심을 끌 수 있는 독특한 해법이며 따라서 정원의 방문자에게 서울 장인 정원의 상징적인 의미를 제공하게 된다.

Because Seoul is a melting pot for Korea’s socio - cultural heritages, artisans’ contributions to representation of Seoul’s cultural values have not been fully appreciated until the present day. It is well known, however, that artisans’ design sense and ability are the primary bases for design of many artifacts in Korean society. It may be possible to represent traditional cul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of artisans through new garden design. This was the Seoul city government’s main objective in hosting the 2015 Seoul garden festival in Pyeonghwa Park near Sangam - dong. The Seoul Artisan Garden design was primarily intended to convey both spatial messages and symbolic implications of artisans’ concepts of traditional Seoul culture. The garden itself comprises four layers representing these concepts: the artisan as a person, the tools used, the crafts made, and the nature employed to expose the image. The natural aspects of grass and flowers in the garden interrelate both within and beyond the boundaries of a large, single circle, giving contrast effects. The symbolic ima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an and nature is expressed by the method of displaying grass with crafts in the background, or arranging flowers with repeated shrub partitions as main visual objects. This design metaphor offers a unique method for attracting strong visual curiosity, thereby conveying symbolic meanings of Seoul artisans’ cultural heritage to garden visitors.

저자
  • Eunyeong Park(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 박은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