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0

        1.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목적은 복층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수명 예측과 경제성 분석에 있다. 성능평가를 위한 현장시 험은 투수시험 및 소음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실내시험은 반사균열, 동탄성계수, 소성변형(FN) 시험을 진행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포장설계 수명 예측 및 비용 편익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일반 밀입도 포장의 비용 편익과 비 교·분석하여 복층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경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복층 배수성·저소음 포장 이 일반 밀입도 포장과 비교 시 소음 저감 성능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용 편익 분석 결과 복층 배수성·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은 높은 초기비용에도 불구하고 설계기간동안 낮은 유지보수 비용을 가지며 안전 및 소음 측면에 서 일반 밀입도 포장과 비교 시 매우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비용과 총 편익 비용을 편익 비용 비율(BCR)로 계 산한 결과 복층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이 단위 비용 당 편익 측면에서 방음벽이 있는 다른 포장에 비해 가장 우수 한 결과를 보였다.
        2.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s the long-term performance of a multi-layer cover system (MLCS) for near-surface disposal facilities using numerical modeling to estimate infiltration rates under various rainfall scenarios. An effective cover system is essential to prevent radionuclide migration and protect groundwater inflow within disposal facility. The analysis incorporated different bedrock characteristics (homogeneous and discrete fracture networks) and rainfall patterns throughout a 300-year post-closure period, assuming constant initial hydraulic properties. A comprehensive modeling approach incorporating both saturated and unsaturated flow dynamics was employed to assess system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the cover system effectively limited infiltration rates to 15.94%−21.25% of the design criterion (32 mm∙year−1) across all scenarios. Although infiltration patterns showed minimal sensitivity to bedrock heterogeneity, preferential flow along fractures was observed in the unsaturated zone, necessitating further investigat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fracture-dominated flow in cover system design and highlight the need for detailed analysis of chemical degradation effects, experimental validation, and uncertainty quantification.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optimizing disposal facility designs and improving long-term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ies.
        4,6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류경계층(CBL) 구조 분석을 위해 Haar 이산 웨이블릿 변환(DWT)과 온위()-수증기 혼합비(r) 공 분산 관계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Haar DWT로 계산된 근사 계수는 연직  및 r 프로파일이 가지는 평균적인 경향성을 나타내며, 여러 규모에서의 상세 계수들 각 규모에서의 세부적인 변동성을 나타낸다. 두 변수의 상세 계수들 을 곱함으로써 각 규모에 대한 연직 -r 공분산 프로파일을 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표층 및 혼합층 상단 고도를 추정하 기 위해 가장 작은 규모, 즉 segment 길이가 약 1.5m 규모의 변동성이 제거된 공분산 프로파일을 활용하였다. CBL 내 -r 공분산 구조는 지표층에서 양의 값, 혼합층에서 0, 그리고 유입대에서 음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 로 연구 기간 내 선정된 32개의 맑은 날 사례에 대해서 지표층 및 혼합층 상단 고도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고도는 연 직  및 r 프로파일과 비교함으로써 CBL 구조 정량화를 위한 Haar DWT와 -r 공분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4,9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road pavement design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statistical and machine-learning techniques for predicting asphalt layer thickness, focusing on regional roads in Pakistan. The explanatory variables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subbase thickness, and subgrad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values from six cities in Pakistan. The statistical prediction models used we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random forest, and XGBoost.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was evaluated using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and root-mean-square error (RMS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ADT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the asphalt layer thickness. Among the models, the MLR demonstrated the best predictive performance. While XGBoost had a relatively strong performance among the machine-learning techniques, the traditional statistical model, MLR, still outperformed it in certain region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customized pavement designs that reflect the traff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fic to regional roads in Pakistan. This finding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additional variables and data for a more in-depth analysis.
        4,000원
        5.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er pipes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in a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HWR) are composed of carbon steel SA 106 GR.B. On the surface of this structural material, corrosion oxide layers including radionuclides are formed due to the presence of active species from water decomposition products caused by radiation, as well a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 These oxide layers de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and pose a risk of radiation exposure to workers and the environment during maintenance and decommissioning, making effective decontamination essential. In this study, we simulated the formation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on the surface of carbon steel SA 106 GR.B, characterized the formed corrosion oxide layer, and investigated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using oxalic acid (OA), a commercial chemical decontamination agent. The corrosion oxide layer formed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4 μm and consists of hematite ( Fe2O3) and magnetite ( Fe3O4). The carbon steel coupons with formed oxide layers were dissolved in 10 mM and 20 mM OA solutions, resulting in iron ion concentrations of 220 ppm and 276 ppm in the OA respectively. In 10 mM and 20 mM OA, the corrosion depths of the coupons were 8.93 μm and 10.22 μm, with corrosion rates of 0.39 mg/cm2·h and 0.45 mg/cm2·h, respectively. Thus, this demonstrates that higher OA concentrations lead to increased dissolution and corrosion of steel.
        4,000원
        6.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arbon coating was carried out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on SiOx surfac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posited carbon layer on the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ies as a function of the asphaltene content of petroleum residues. The petroleum residue was separated into asphaltene-free petroleum residue (ASF) and asphaltene-based petroleum residue (AS) containing 12.54% asphaltene by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the components were analyzed. The deposited carbon coating layer became thinner, with the thickness decreasing from 15.4 to 8.1 nm, as the asphaltene content of the petroleum residue increased, and a highly crystalline layer was obtained. In particular, the SiOx electrode carbon-coated with AS exhibited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with an initial efficiency of 85.5% and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94.1% after 100 cycles at a current density of 1.0 C. This is because the carbon layer with enhanced crystallinity had sufficient thickness to alleviate the volume expansion of SiOx, resulting in stable SEI layer formation and enhanced structural stability. In addition, the SiOx electrode exhibited the lowest resistance with a low impedance of 23.35 Ω, attributed to the crystalline carbon layer that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mobility of Li 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creasing the asphaltene content of petroleum residues is the simplest strategy for preparing SiOx@C anode materials with thin, crystalline carbon layers and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ith high efficiency and high rate performance.
        4,200원
        7.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ester co-solvents and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were used as low-temperature electrolyte additives to improve the forma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on graphite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LIBs). Four ester co-solvents, namely methyl acetate (MA), ethyl acetate, methyl propionate, and ethyl propionate, were mixed with 1.0 M LiPF6 ethylene carbonate:diethyl carbonate:dimethyl carbonate (1:1:1 by vol%) as the base electrolyte (BE).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used to compar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LiCoO2/ graphite full cells. Among various ester co-solvents, the cell employing BE mixed with 30 vol% MA (BE/MA30) achiev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at − 20 °C. In contrast, mixing esters with low-molecular-weight degraded the cell performance owing to the unstable SEI formation on the graphite anodes. Therefore, FEC was added to BE/MA30 (BE/MA30-FEC5) to form a stable SEI layer on the graphite anode surface. The LiCoO2/ graphite cell using BE/MA30-FEC5 exhibited an excellent capacity of 127.3 mAh g− 1 at − 20 °C with a capacity retention of 80.6% after 100 cycles owing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MA and formation of a stable and uniform inorganic SEI layer by FEC decomposition reaction. The low-temperature electrolyte designed in this study may provide new guidelines for resolving low-temperature issues related to LIBs, graphite anodes, and SEI layers.
        4,500원
        8.
        202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ovskite-based solar cells have recently exhibited rapid improvement in power conversion efficiency due to their high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However, perovskite materials are fundamentally degraded by heat and moisture, making long-term stability a critical issue. One way to improve the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is to encapsulate them. However, a low temperature encapsulation process of less than 100 °C is needed to minimize degrading the perovskite materials. High moisture barrier properties are also required. To realize a high performance encapsulation layer at low temperature we employe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echnique. As the encapsulation layer materials, Al2O3, which is most commonly used due to its high density and optical properties, and SnO2, which is mainly used a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in perovskite solar cells, were selected. Single film and multi-layer structured films of Al2O3 and SnO2 were deposited, and the structural, optical, and moisture permeabilit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4,000원
        9.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열 없이 생산이 가능한 상온 아스팔트 포장 공법도 2000년 초부터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 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성능 확보가 어려워 대부분 기층용으로 활용중에 있다.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은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는데 양생하는 동안 혼합물 내부에 있는 물이 증가됨에 따라 혼합물 내부의 높은 공극률이 발생하게 되어 포장의 성능을 확보하는데 한계 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화 아스팔트 내 아스팔트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켜 물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서, 양생시간을 단축하고 낮은 공극률 확보를 통한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고형분 함량이 변화에 따라 공극률 및 간접인 장강도, 터프니스 물성이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고함량 고형분의 유화 아스팔트를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적 함수비 결정방식 및 양생방식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심부 도로에서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해 발생한 홍수 및 물순환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블록포장이 도입되고 있으며, 물순환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투수블록포장은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투수성 포장의 성능 향상 을 위해서는 교통 하중 지지력을 만족하고, 투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므로 표층뿐만 아니라 하부 투수기층의 설계 기준과 입도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설계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고, 국외에서는 AASHTO 93 설계법을 구조설계법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투수성 포장재료의 상대강도계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다양한 재료에 대 한 설계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투수블록포장 하부 투수기층 골재의 물리적 특성과 입도 기준에 관한 고찰을 통해, 내구성 향상을 위한 설계 요인과 투수 성능 간의 관계 분석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효율적인 골재 입도 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적합한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투수성 포장 설계 조건과 성능에 관한 연구를 다루는 문헌을 수집해 투수 블록포장의 하부구조 단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및 연구 방법론을 정리함으로써 실무 연구자들의 국내 연구 활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11.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sing porous asphalt in order to reduce traffic noise and increase road safety specially in rainy weather is become a time demand now a days. Traditional dense asphalt can not provide a well mannered drain systems, adequate road capacity and noise friendly environment, which can make harm to roadway, property and ultimately to the life. In contrast, porous asphalt provides a environment friendly, cost effective, high skid resistive and well drains pavement with great durability. Additionally, the ability of porous to decrease the number of crashes both in sunny and wet-weather are up to the mark. In this context, investigate the ability of porous asphalt allows for deeper insights into all the mentioned factors, which help to make a durable, time demandable, more safer pavements in the field of pavement engineering. By combining some lab tests, field tests and analyzing the data, this research offers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to lead a pavement situation adaptable.
        1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discarded male layer embryos as a sustainable and non-GMO cell source for cultivated chicken meat production.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efficient methods for isolating muscle progenitor cells (MPCs) with high proliferative potential by conducting transcriptome analysis on thigh muscle tissues from both male and female chick embryos. Methods: Transcriptom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high muscle tissues of male and female chick embryos, aged 12-13 days, (n = 4 each),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and identify strategies for efficiently isolating MPCs. This approach aims to pinpoint techniques that would allow for the selection of MPCs with optimal growth and proliferation capabilities. Results: Using heatmap, hierarchical clustering,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e found no significant sex-based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except for the overexpression of the female-specific gene LIPBLL. The expression of muscle stem cell factors, including PAX3, PAX7, and other myogenic regulatory genes, showed no significant variation. However, to recover MPC-rich cells isolated from male thigh muscle, we found that by the pre-plating 7 stage, myogenesis-related genes, MYHs and MUSTN1 were minimally expressed, while the cell cycle arrest gene CDKN1A sharply increased.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imple cell isolation directly from tissue is a more scalable and efficient approach for cultivated meat production, compared to labor-intensive pre-plating methods, making it a viable solution for sustainable research and resource recycling.
        4,000원
        18.
        202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various organic materials suitable for silicon-based inorganic-organic hybrid solar cell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due to its high optical transmittance, high work function, and low bandgap characteristics.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EDOT:P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silicon-organic hybrid solar cells. To enhance the photovoltaic properties of the silicon-organic hybrid solar cells, we developed a metho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PEDOT:PSS film using Ag nanowires (NW) instead of conventional solvent addition methods. The influence of the Ag NW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y of the PEDOT:PSS film and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the silicon-organic hybrid solar cells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Ag NW further improved the sheet resistance of the PEDOT:PSS film,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ilicon-organic hybrid solar cells. The present work using the low sheet resistance PEDOT:PSS layer paves the way to develop simple yet more efficient siliconorganic hybrid solar cells.
        4,000원
        19.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로즈마리 다단재배 시 층별 환경조건 및 하위선반 보조 광원이 어린순 품질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자 수행되었다. 정아를 제거한 커먼 로즈마리의 중간부 삽수 10cm를 128공 트레이에 삽목하여 발근시킨 뒤 750, 1,300, 2,000mL의 화분에 이식하였다. 이후 2연동 온실 내 다단선반 (3단)에 배치하여 저면관수 방식으로 재배하였다. 다단선반 층별 어린순 생산성은 3층(최상층)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여름철 광 과다에 의한 줄기 목질화로 9월 이후 생산성이 급감 하였다. 반면 하위 2개 층은 재배 후기까지 어린순의 생장속도 가 빨랐으나, 줄기 연화 및 엽 상편생장으로 품질이 감소하였 다. 다단선반 3층 여름철 광 과다 문제 해결을 위해 7, 8월 30% 차광 재배시 무차광 대비 단위 면적당 어린순 수확 줄기수 210%, 생체중 162% 증수하였다. 하위층 광 부족 문제를 개선 하고자 보조 광원 설치 재배 시 LED 30W에서 6-9월 어린순 수확량이 보조광원 미설치 대비 168% 증가하였으나, 9월 이 후 오히려 생산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로즈마리 다단재배 시 3층(최상층)은 7-8월 30% 차광으로 줄기 목질화를 막고, 하 위층은 6-9월 LED 30W로 일시적 보광을 통해 어린순 생육 을 증대시킨다면 어린순 집약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로즈마리 다단재배 시 근권부 용적이 어린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아를 제거한 커먼 로즈마리의 중간부 삽수 10cm를 128공 트레이에 삽목 하여 발근시킨 뒤 125, 200, 550, 750, 1,300 및 2,000mL의 용 기에 이식하여 1, 2년생 삽목묘 어린순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을 비교하였다. 1년생 로즈마리의 경우 초기 생육(이식 후 30 일)은 용기 550mL 이상에서 처리 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2년생 로즈마리의 경우 용기가 클수록 생육이 비례하는 경향 을 보였다. 1, 2년생 로즈마리의 지하부 생체중은 용기 550mL 에서 7월 25일 조사 시 각각 6.9g, 24.4g, 11월 24일 조사 시 각 각 10.3g, 24.9g으로 가장 낮았고, 용기 750-2,000mL에서 는 처리 간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반면 지상부 생체중은 1년 생 로즈마리의 경우 용기가 클수록 증가하다가 1,300mL 이 상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며, 2년생 로즈마리 역시 용기 가 클수록 생체중이 유의하게 높았다. 어린순 품질은 1년생 로 즈마리의 경우 용기 2,000mL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2년생 로즈마리의 경우 시기별 품질 차이를 보였다. 단위 화분당 어 린순 생산성은 1,300mL에서 가장 높았으나, 단위 면적당으 로 환산할 경우 750mL에서 가장 우수하게 관찰되었다. 따라 서 로즈마리 어린순 다단재배를 통한 집약생산에 가장 적합한 용기 크기는 750mL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