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구두시장에서의 e-충동구매에 대한 쇼핑성향, 마케팅 자극과 위험지각의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Marketing Stimulus and Perceived Risk on E-impulse Buying of Shoes Mark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소비자들은 구두를 단순히 발을 보호하고 편안하게 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식과 자아 이미지를 표현해주는 패션제품으로써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 온라인 시장 분석에서 구두가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제품이라고는 하였지만 인터넷 구두 시장을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인터넷 구두시장에서 구두 e-충동구매과정에 대한 쇼핑성향, 마케팅 자극,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위험지각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다. 최근 6개월 동안 구두 e-충동구매를 경험한 적이 있는 대학생들 총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술형식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쾌락적 쇼핑성향이나 브랜드 쇼핑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자극(판매촉진 자극이나 제품자 극)을 더 많이 인지하였고, 반면 경제적 쇼핑성향의 소비자들은 마케팅 자극을 더 낮게 인지하였으나 기능적인 위험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의 경우, 마케팅 자극이 강할수록 e-충동구매는 증가하였으나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은 e-충동구매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영향을 받는 마케팅 자극이 구두 e-충동구매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Consumers tend to perceive the shoes as just their footwear to protect and comfort foot and fashion products to decorate and express their self-images. Even though online market research analysis indicated shoes consumption is important in daily life of consumers, there is limited research that was conducted specifically on shoes e-market.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process of shoes’ e-impulse buying focusing on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marketing stimulus and consumers’ perceived risk in shoes market at Internet. A total of 408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universiti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e-impulse buying of shoes at least once for the last six months. Results confirmed that consumers who had higher hedonic shopping orientation or brand shopping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the marketing stimuli (e.g., promotion stimuli and product stimuli), whereas consumers who had higher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were consider the lower marketing stimuli and the more perceived functional risk in the e-shopping context of shoes. For shoes, marketing stimulus had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impulse buying, while consumers’ perceived risk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e-impulse buy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rket stimulus, which is affected by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riggering e-impulse buying of sho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e-충동구매
  2.2. e-충동구매의 영향 변수
 3. 연구 방법
  3.1. 연구 문제
  3.2. 측정 도구
  3.3.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 결과
  4.1.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2. 연구문제 검증
 5. 논의
 REFERENCES
저자
  • 박은주(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Eun Joo Park
  • 김보경(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Bo Ky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