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파와 심전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온열환경 및 조도가 재실자의 업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and Illuminance on the Occupants Works based on the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5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 온열환경 및 조도에서 재실자가 느끼는 조명에 대한 감성의 변화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온열환경은 PMV(predicted mean vote) 지표 값을 기반으로 환경을 구성하였고, 조명환경은 LED광원을 이용한 스탠드를 통해 조명의 밝기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실내 환경을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어진 환경에서 설문지를 통해 조명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고 종류가 다른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진행하면서 뇌파와 심전도를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업의 종류에 대한 모든 생체신호는 온열환경의 변화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MV 지표 값이 0.8(온도: 25 ℃, 습도: 50 %)일 경우 집중력 및 주의력이 가장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조도의 변화에 는 대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실자의 업무 능력에 미치는 집중력은 온열환경과 밀접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명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은 조도가 낮을수록 편안함을 느꼈으며, 조도가 높을수록 불편함을 느꼈다. 하지만 온열환경의 변화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is research analyzed biosignal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emotion from lighting felt by the occupants and task type under various indoor thermal environments and illuminance, and examined the biosignals’ impacts on work. To this end,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MV (predicted mean vote) index value, and various indoor environments were created by changing the brightness of LED stands. In this manner, a variety of indoor environments were constructed,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ensibility response to lighting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given environment and incorporates different types of error searches. In this way, changes were analyzed by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electrocardiograms (ECG). As a result, all biosignals on the task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hermal environment change. When PMV index value was 0.8 (temperature: 25 ℃, humidity: 50 %), concentration and attention were the most activated. However, the biosignal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illuminance change. Concentration on an occupant’s work capability was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hermal environment. As for the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 to lighting, the occupants felt comfort as illuminance was lower, while they felt discomfort as illuminance was high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hermal environment change.

목차
1. 서론
 2. 관련연구 및 이론
  2.1.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2.2.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3. 연구 방법
  3.1. 실험 조건
  3.2. 실험 도구
  3.3. 실험 방법
 4. 연구 결과
  4.1. 뇌파 분석
  4.2. 심전도 분석
  4.3. 조명감성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형선(그린 에너지 기술연구소) | Hyung-Sun Kim
  • 임재현(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Jae-Hyun Lim
  • 김형태(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신에너지기술연구센터) | Hyoung-Tae Kim
  • 김형식(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Hyoung-Sik Kim
  • 곽원택(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Won-Tack Kuwak
  • 김진호(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Jin H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