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기불교 수기사상에 나타난 Well-dying의 의미고찰 KCI 등재

A Study for the Meaning of Well-dying in the Sugi-Thought of the Early Buddh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기대 수명의 증가, 고령화에 대한 사회 적 인식 확대, 고독사, 무연사 등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면서 삶을 잘 마무리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신적·육체적인 자 기만족, 행복감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웰다잉(well-dying) 또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접근할 문제로 인식되 고 있다. 웰다잉은 행복한 삶을 마무리하기 위한 마음가짐과 구체적 실천 행위로 심리적·육체적인 죽음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과정으로 설명된다. 의료학적으로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이나 완화치료 를 의미하고, 임종환자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과 죽음에 대한 의식변 화를 위한 죽음교육도 포함된다.
웰다잉을 위한 실천적 차원에서 호스피스, 터미널케어, 등의 용어 적 정의와 유래를 살펴보았다. 이는 종합적으로 완치가 불가능하여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을 육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인 돌봄을 통하여 남은 삶의 질을 높이고, 죽음 및 사별의 문제까지 포괄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는 행위로 정의되고, 웰다잉을 위한 사회 복지적 차원의 의미로 이해되었다. 또한 웰다잉의 이론적 고찰을 위 해 종교적 차원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며 종교가 죽음에 대한 대안 제시와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희망적 메시지 전달을 통해 웰다 잉적 접근을 하고 있음을 탐색해 보았다. 특히 경전의 내용을 중심으 로 불교의 죽음에 대해 살펴보고, 초기불교의 수기사상이 인간의 존 엄성을 극대화하는 종교적 행위이자 웰다잉을 위한 석가의 가르침임 을 재조명하며 현대적으로 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In the 21C, people are getting concerned about how to meet the death at the end of their lives by the growing social issues, the increase of desired life time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the lonely death, the death without family members etc. As the Well-dying, which is pursuing mental, physical self satisfaction, happiness, has become a big issue, it is also recognized as the problem we should get close in the dimension of social welfare.
The Well-dying - the mind and detailed practices to be ready for the happy life - may be explained as the active preparation process for mental and physical death. It medically means the interruption of meaningless prolongation of life or palliative care. And also it contains the multilateral supports and the death education for the alteration of consciousness about death to dying patients.
I looked into the terminological definitions and histories of hospice, terminal care in the practical dimension for Well-dying. Synthetically, it is to raise the quality of left lives through th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care of the patient, who is expected to die because of impossible treatment, and ones family members. It is defined as the act to give helps including death and the issue of separation of death and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dimension for Well-dying. And also, I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death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Well-dying in a religious dimension and explored the religion through alternative suggestions of death and the delivery of hopeful messages to dying in the approach of Well-dying. Especially, I examined the death of Buddhism as focusing on the content of Sutra and had a consideration into its modern meaning by reviewing it as the Buddha's teaching about Well-dying.

목차
Ⅰ. 서론
 Ⅱ. 웰다잉과 핵심 용어의 개념 정의
  1. 호스피스의 개념과 이해
  2. 터미널케어의 개념과 이해
  3. 웰다잉의 개념과 이해
 Ⅲ. 웰다잉을 위한 종교적 접근
  1. 유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
  2. 그리스도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
 Ⅳ. 초기불교 수기에 대한 웰다잉적 이해
  1. 불교에서 죽음에 대한 이해
  2. 터미널케어에 대한 불교적 이해
  3. 초기불교 授記에 대한 웰다잉적 이해
 Ⅴ. 맺는 말
 【참고문헌 】
저자
  • 박은영(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박사과정, 산청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전문상담사) | Park E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