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요 조사료원과 쑥, 녹차의 반추위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에 대한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Ruminal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n Major Roughage, Wormwood and Green T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2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사료(rice straw, timothy and alfalfa) 및 쑥과 녹차의 반추위 소화율과 물리 적 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in vitro 와 in situ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사료별 3, 6, 9, 12, 18, 24, 36, 48 및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in vitro 실험에서는 가스 발생량, 미생물 성장량, pH를 측정하였다. 가스발생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 수록 모든 시간대에서 증가하였고(p<0.05), 녹차에서의 가스발생량이 가장 낮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 는 나타나지 않았고(p<0.05), 쑥과 녹차의 미생물 성장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p<0.05). 반추위내 pH는 배양시간 경과할 수록 감소하였고, 티모시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가장 낮 았으며, 볏짚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높았다(p<0.05). In situ 실험에서 모든 시간대 녹차의 건물소 화율(DM; Dry Matter) 및 조단백 소화율(CP; Crude Protein)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반추위내 통과 속도 4% 쑥에서 건물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알팔파는 조단백 소화율이 가장 높았다(p<0.05). 녹차 와 쑥의 표면과 기공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한 결과, 쑥 표 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 반추위 내 영양소 소화율이 낮은 것으로 사료되고, 녹차는 기공에 미생 물이 관찰 되었다. In vitro 및 in situ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원료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mparative in vitro and in situ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umen degradability and physical structure of domestic roughage as rice straw, timothy, alfalfa, wormwood and green tea. The feedstuffs incubated with rumen fluid and was used to determine gas production, microbial growth rate and pH changes in an in vitro experiment. The gas production was increased during incubation times and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green tea than other feedstuffs. The microbial growth rate in the feedstuffs was increased during incubation times. However,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wormwood and green tea than other feedstuffs. Ruminal pH was decreased during incubation times, and timothy was the lowest, and rice straw was the highest among feedstuffs. The disappearance rate of dry matter(DM) and crude protein(CP) in all feedstuffs were increased during incubation times and green tea was the highest(p<0.05) compared with other feedstuffs. In effective degradability, when rumen out-flow rate was assigned to 4%, wormwood showed the highest in DM, and alfalfa was the highest in CP. Whereas, green tea was the highest in both in situ DM and CP degradability. Many cilia on the surface and stoma of wormwood and stoma in green tea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icrobes breaked down the cilia at the beginning and then degraded the surface in wormwood. In case of green tea, microbes attached to stoma. Therefore, wormwood and green tea have a potential value as ruminal feed stuff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및 공시축
  2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3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In vitro 가스 발생량, 미생물 성장량 및 pH 변화
  2 In situ 건물소화율, 조단백질 소화율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신자(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중점연구소)) | Shin Ja Lee
  • 이수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u Kyoung Lee
  • 노진구(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Jin Gu No
  • 김도형(경북도립대학교 축산과) | Do Hyung Kim
  • 임정화(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 Hwa Lim
  • 문여황(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Yea Hwang Moon
  • 이성실(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중점연구소),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Sung Sill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