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의 공공성: 국내 커뮤니티 댄스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Publicness of Dance - Focusing on the Field of Community Danc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9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국내 무용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커뮤니티 댄스(community dance) 활동 을 살펴보고, 커뮤니티 댄스의 확장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여 무용이 지니는 공공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커뮤니티 댄스는 지역, 계층, 취향 등으로 조직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시민들의 무용 활동으로, 최근 다문화주의와 다원주의의 경향 아래 확장되고 있는 공동체 예술(community arts)의 한 분야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과거 무용이 주로 예술가에 의해 창 작되고 관객은 이를 수용하는 이분법적인 관계를 넘어 예술가에서 시민으로 예술의 주체가 변화 되고 있는 것을 반증한다. 이처럼 예술가 개인의 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던 예술은 이제 모든 사 회 구성원들이 행위하고 소통하며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 즉 공공 영역(Public sphere)으로 옮겨 가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무용의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공공 영역에서 나타나는 무용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무용의 공공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공공성과 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관점을 제시했다. 무용에서의 공공성은 기존 연구에서 드물게 다루어졌으므로 사 회학, 정치학 및 예술 등 관련 학문의 이론을 고찰했으며, 하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아렌트의 인간 행위의 본질을 통한 공공성에 대한 천착은 본 연구에서 커뮤 니티 댄스의 다양한 층위를 읽어내고 의미를 해석할 때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무용 현 장에서 포착되는 실제적인 측면을 살피기 위해 현장연구를 실시했다. 사전 연구를 통해 국내 커 뮤니티 댄스 조직을 공공기관 주도형, 전문단체 주도형, 축제 주도형으로 분류했으며, 각 유형의 커뮤니티 댄스 총 네 팀을 선정하여 현장에 진입했다. 연구방법은 면담과 관찰 방법을 사용했다. 면담방법은 공공성의 주제에 관련된 반구조화된 면담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질문하는 자유로 운 면담을 수행했다. 또한, 관찰의 방법은 현장에서 구성원들의 무용 활동과 소통 및 관계 맺기 의 방법 등 무용 맥락의 전 과정을 살피고 이를 기록하는 안무학적 관찰 방법(choreological observation)을 사용했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로서 무용의 공공성은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의 정치화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공동체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타인과 ‘공동’의 목 소리를 내는 본래적 의미에서 정치와 관련 있다.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는 무용 활동을 통해, 시 민들은 자신의 속한 사회에서 의미 생성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둘째, 다원성에 기반을 둔 무용의 정체성 탐구 및 미학적 판단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공동체의 환경과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으 며 예술이 현실로 이동하면서 나타나는 컨템포러리 댄스의 미학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 다. 셋째, 무용의 공공영역이다. 시민이 창작의 중심에 있는 것이 커뮤니티 댄스의 가장 큰 특징 이며, 무용의 공공영역에서 시민들은 자유로운 소통과 공감을 할 수 있다. 넷째, 국가 지원의 당 위성이다. 국내 대부분의 커뮤니티 댄스가 국가 보조금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국가가 지향하는 문화정책의 방향은 커뮤니티 댄스의 성격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의 역할은 국가가 원하 는 방식의 예술 생산을 지지하기 보다는 시민 성장에 기여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하는 무용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 모든 시민이 무용의 주체가 되는 평등하고 본질적인 측면에서 무용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고자 했 다. 또한, 커뮤니티 댄스의 사회적 기능이나, 공익, 그리고 공론의 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논의 하여 국가 지원의 당위성을 확립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look at the activities of Community Dance, which is briskly conducted in the Korean dance field. Also,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publicness’ of dance by determining the meaning and value of extension of community dance in modern society. Arts that previously took place in a private space have now moved to a public sphere. For understanding dances in the 21st century, a discussion on the public sphere of dance needs to develop.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publicness’, which is the meanings and values formed in the public sphere of dance.
For these aims, the study completed literary reviews that focused on the concepts of ‘publicness’ and community dance. ‘Publicness’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dan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its own view on this concept by examining the theories in other academic fields. This trial is related to the main theories of Hannah Arendt about ‘publicness’.
Then the study carried out fieldwork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of dance while trying to go further beyond the theoretical debates. The study divided the community dance groups into 3 types, such as government-led, dance festival organization-led and research lab-led. Then the researchers selected 4 cases by carrying out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research methods used for the study were interviews and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relating to the concepts of ‘publicness’ were performed and open-ended interviews in which participants could talk and ask questions freely were also performed. Lastly, choreological observation was used. It is an observational method that the whole processes and contexts of dance.
Consequently the ‘publicness’ of dance can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ere is a politicization of dance. Community dance is related to politics in the context that people reveal their own thoughts and make a common voice with other people. Through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which secure liberty and equality, people can make meanings in the society that they belong to. Second, it is an investigation of identity through dance and aesthetic judgement. Community dance is a new dance form that appeared when the arts were moving into the real world. It has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ances. Third is public sphere of dance.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 of community dance is that the people stand in the center of creative activities. People can communicate freely and sympathize with others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Fourth is the necessity of government supports. Most community dance groups depend on government subsidy. Cultural policies of government strongly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of community dance. Therefore, the role of government is not to support to solely produce art works which the government wants, but to support the growth of citizens’ awareness through strengthening cultural and artistic abilities of the people.
This study planned to present the view that is changing into a new social paradigm of pluralism and multiculturalism. Through discussing the social roles and public interests of community dance and its role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the role that government subsidies play in community dance.

목차
국문요약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논의
1. 공공성의 개념 및 차원
2. 커뮤니티 댄스의 배경 및 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연구 윤리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무용의 정치화
2. 다원성을 기반으로 한 무용의 정체성 및 미학적 판단
3. 무용의 공공 영역
4. 공공성 확립을 위한 국가의 지원 및 개입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재리(국민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강사) | Kim Jae-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