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 : 2011~2015년 KCI 등재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1 to 201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6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작업치료 의 주요 연구 분야와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총 206편의 논문을 대상으 로 연구형태, 질적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최근 5년 동안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투고된 논문들의 연구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전체의 45.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실험연구, 평가도구 연구, 고찰연구 순이었다. 연구의 질적 수준은 4단 계가 전체의 56.8%로 가장 많았고, 연구 설계는 조사연구와 평가도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순 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성인, 노인, 아동 순이었고, 연구대상자로는 성인과 노인분야에서 뇌졸중이 가장 많았으며, 아동은 뇌성마비, 전반적 발달장애, 지적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인 지치료와 작업기반 작업치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종속변인으로 상지기능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기술적 조사 연구의 주제는 작업치료정책 및 관련연구, 일상생활활동, 인지영역에 대한 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최근 5년간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형태와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분 야로 나누어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한국작업치료의 연구방향과 교육방향을 계획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1 to 2015. Methods :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2015 were surveyed, and a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types of research, level of evidence, participant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ers. Results : The analysis outcome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type of research was experimental research, followed by evaluation tool research, and review articles. The most frequent level of evidence was level Ⅳ (56.8%), a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designs were survey and evaluation tools, reliability, and validity research. The main subjects were adults (37.2%). The most common diagnoses of adults (elderly people) were strokes. In the case of children, the diagnoses were cerebral palsy, followed by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sord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addressed were the largest frequency of cognitive intervention and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stly for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followed by psychosocial factors. Descriptive survey researches were mostly a policy of occupation therapy, followed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on.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and analyzed the research types, level of evidence, participants, and research field. These results will help readers know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amount of evidence available.

저자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
  • 이미지(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Lee, Mi-Ji
  • 김소연(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So-Yeon
  • 한솔(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Han, S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