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KCI 등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orean Version of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c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국내 재활치료 환경과 사회적 제도의 상황에 맞춘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 련 프로그램(Korean version of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향후 편마비 환자의 이동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기존에 알려진 휠체어 기술과 수동 휠체어에 대한 일반적 훈련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K-WSTP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K-WSTP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군으로 휠체 어 사용시 도움이 필요한 편마비 환자 6명, 대조군으로는 휠체어 사용시 독립적인 편마비환자, 작업치료 전공학생, 작업치료사 각 6명씩 총 2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휠체어 훈련프로그램 시행전·후에 휠체어기술검사(Wheelchair Skills Test; WST),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COPM), 한국판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주관적의견 등을 평가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훈련 후 WST와 K-MBI 점수에서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p<.05)로 향상되었다. 또 한, 훈련 후 WST, 수행도, 만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p>.05)로 향상되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 대한 주관적 평가결과 어려움을 느낀 휠체어 기술은 ‘turns in place’와 ‘maneuvers sideways’(18.2%)를, 실험군은 ‘level transfer’와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를 가장 어렵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 개발된 휠체어 훈련프로그램은 편마비 환자의 휠체어 기술, 독립성, 개인의 수행도, 만족도에 긍정 적인 향상을 보임으로써 향후 편마비 환자의 재활의지를 고취시키고 이동성 보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the wheelchair mobility of hemiplegic patients. Methods : Twenty-four subjects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K-WSTP. Of them, six hemiplegic patients requiring assistance when using a manual wheelchair participated as the training group. The other 18 subjects were selected into comparison groups, i.e., independent hemiplegic patients, college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each consisting of 6 persons.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ased on WST(Wheelchair Skills Test),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K-MBI(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and their subjective opin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K-WSTP.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5) in terms of the WST and K-MBI after training. The performance score and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between the training and comparison groups. Of the total subjects, 18.2% expressed their opinion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wheelchair movements such as ‘turn in place’ and ‘maneuver sideways’, whereas the training group expressed an opinion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a ‘level transfer’ and ‘relieving weight from the buttocks.’ (note from editor, please check the red sentence carefully to make sure it matches your original intention.) Conclusion : The developed K-WSTP showed improvements in wheelchair skills, independence, individu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enhance the motivation toward rehabilitation, improving one’s mobility in daily life, and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hemiplegic patients.

저자
  • 박제모(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Park, Je-Mo
  • 김희동(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Dong
  • 이의진(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재활센터 작업치료실) | Lee, Eui-Jin
  • 서혜주(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재활센터 작업치료실) | Seo, Hye-Ju
  • 정소희(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재활센터 작업치료실) | Jung, So-Hee
  • 정화식(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ung, Hwa-Sh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