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토리텔링을 통한 전통회화의 캐릭터 디자인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Character Design of Traditional Painting through Storytel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996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49.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문화상품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에서 전통회화가 가지는 역 사성, 예술성 뿐 만 아니라 재미와 해학 그리고 이야기 거리를 통해 전통회화 안에 캐릭터적인 요소가 있음을 착안했다. 캐릭터는 문화상품 뿐 아니라 팬시, 애니메이션, 디지털 교육 및 정보, 출판, 영화, 게임 산업 등 다양하게 접목하고 융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통회화에 들어있는 스토리를 통해 우리 고유의 독자적 캐릭터 디자인을 모색하고 사례를 통한 활용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통회화에서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요소의 추출이 가능한 민화, 영모화, 화훼 · 화조화, 풍속화를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스토리텔링을 위해서 회화 작품 속 감 상자가 느끼는 이미지와 생각에 작품이 가지는 배경과 표현하고자 한 그림 속 이야기를 더해 하나의 캐릭터 이미지를 송 출한다고 보고, 캐릭터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요소를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전통회화를 중심으로 캐릭터화 되어 다양 한 상품으로 판매되는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에 국내는 국립중앙박물관 뮤지엄샵과 한국문화재단 전통문화테마숍 KHmall 을 연구 조사하였으며, 국외사례로는 일본과 중국의 문화상품 중 전통회화와 접목되어 있는 상품을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전통회화에서 캐릭터 요소를 분석하여 동물, 식물, 인물위주의 독립된 캐릭터로 탄생이 가능한 점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전통회화가 하나의 상품 캐릭터로 가치가 있으며 대중에게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고, 우리의 문화상품을 알 리는 문화교류의 역할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n traditional paintings through not only the historic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intings but also the fun, humor, and storytelling in the social reality wher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for cultural product revitalization is urgently required. Character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that can integrate and fuse various kinds of cultural products as well as fancy, animation, digi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publishing, film, game industry and etc.. It is studying how to use character design through storytelling in traditional painting.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focused on folk paintings, flower paintings, horticultural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which can be used for storytelling and character elements in traditional paintings. In addition, for storytelling, it would like to add the background of the artist to the image and the idea that the viewer feels in the paintings and the story of the picture to be expressed, and send out a single character image. In Chapter 3, it was researched the cases of characteriz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and selling them in various products. In Korea, it was surveyed the museum shop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KHmall, the traditional cultural theme shop of the Korea Cultural Foundation.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it was examined the products that are combined with traditional paintings of Japanese and Chin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raditional painting is valuable as a product character and it will bring educational effect as well as cultural exchange to inform our cultural products.

저자
  • 이정아(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Lee, Jung A
  • 고정훈(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Ko, Jeong 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