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운 담도 결석과 담도 폐쇄 환자에서 경피간담도 배액술과 경피적 풍선확장술: 단일 기관의 환자 21명에 대한 증례들 KCI 등재 SCOPUS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Percutaneous Balloon Dilatation for Patients with Biliary Duct Stones and Biliary Obstruction in Whom an Endoscopic Approach Is Difficult to Use: Case Series of 21 Patients at a Single Instit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8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배경/목적: 총담도 결석 혹은 종양으로 인한 담도 폐쇄에서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경간담도배액술과 동시에 유두부 풍선확장술을 진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시술의 안정성 및 간편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단일기관에서 종양 및 담도 결석으로 인한 담도 폐쇄를 진단받고 경피적 접근을 통해 시술한 환자 2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21명 중 16명(76.2%)의 환자에서 경피경간담도배액 술과 동시에 유두부 풍선확장술을 진행하였고, 나머지 5명 (23.8%)은 담도배액술 5-8일 후에 시술을 진행하였다. 21명의 환자 중 19명(90.5%)에서 잔류 결석이나 재협착 없이 한 차례 만의 시술로 성공하였다. 나머지 두 명은 각각 2회, 3회 PBD 시행 후 결석 제거에 성공하였다. 결론: 내시경을 시행하지 못하는 환자들에 대한 경피적 접 근을 통한 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별 한 금기가 되지 않는 한 경피경간담도배액술과 동시에 시행하 는 유두부 풍선확장술은 환자의 불편 및 시술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Background/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simplicity of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by retrospectively analyz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concurrent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in conjunction with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in the patients with biliary obstruction due to common bile duct stones or a tumor who were difficult to treat with an endoscopic approach.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 total of 21 patients who were treated through a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approach after they were diagnosed with biliary obstruction due to a tumor and biliary stones in a single medical institution for four years from 2012 to 2015. Results: Sixteen out of 21 patients (76.2%) underw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For 5 patients (23.8%) in whom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he procedure simultaneously due to the patient’s poor overall condition such as pancreatitis and septic shock,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was performed 5-8 days after biliary drainage. Nineteen of 21 patients (90.5%)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a single procedure without residual stones or restenosis, but in two patients, stones were removed two times and three times. Conclusions: The use of a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approach to patients in whom endoscopy cannot be performed is considered safe and effective. In addition, unless the procedure is specifically contraindicated, the use of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PTBD can reduce patient inconvenience and procedure frequency.

저자
  • 김 근(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Geun Kim
  • 김정권(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Jung Kwon Kim Corresponding author
  • 지주연(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Ju Yeon JI
  • 김시호(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Si Ho Kim
  • 박지환(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Ji Hwan Park
  • 경규천(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Gyu Cheon Kyung
  • 안효동(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Hyo Dong An
  • 김민정(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Min Jung Kim
  • 이종성(홍익병원 소화기내과) | Jong Seo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