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최대 간척지인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는 간척토지 28,300ha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중 30% 용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농업용지의 토지이용 계획이 당초 수도작 운영계획에서 전작 위주 토지이용 계획으로 변경되면서 논과 밭은 영농 및 용수체계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용수체계 및 유입 부하량 변화에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작화에 따라 새만금 농업용지 특성에 부합하는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계획 및 이에 따른 작부·용수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농업용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작부시나리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최신 구축된 HSPF 모델링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전작운영 여건을 고려하여 새만금 지역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작부체계 시나리오를 고안하여 채소작물, 사료작물, 식량작물로 구성된 이모작 작부체계 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작부체계를 반영하여 새만금 농생명 용지 전작화에 따른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BOD와 TN 농도는 증가하지만 배출부하량은 감소하고, TP의 경우 농도와 부하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 구상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새만금호 수질환경문제와 경제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새만금호 수질보전을 위한 유역관리대책의 정밀한 평가 보완필요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2.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경/목적: 총담도 결석 혹은 종양으로 인한 담도 폐쇄에서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경간담도배액술과 동시에 유두부 풍선확장술을 진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시술의 안정성 및 간편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단일기관에서 종양 및 담도 결석으로 인한 담도 폐쇄를 진단받고 경피적 접근을 통해 시술한 환자 2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21명 중 16명(76.2%)의 환자에서 경피경간담도배액 술과 동시에 유두부 풍선확장술을 진행하였고, 나머지 5명 (23.8%)은 담도배액술 5-8일 후에 시술을 진행하였다. 21명의 환자 중 19명(90.5%)에서 잔류 결석이나 재협착 없이 한 차례 만의 시술로 성공하였다. 나머지 두 명은 각각 2회, 3회 PBD 시행 후 결석 제거에 성공하였다. 결론: 내시경을 시행하지 못하는 환자들에 대한 경피적 접 근을 통한 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별 한 금기가 되지 않는 한 경피경간담도배액술과 동시에 시행하 는 유두부 풍선확장술은 환자의 불편 및 시술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4,000원
        3.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스틱 담도스텐트는 주로 양성 혹은 악성 담도 폐쇄시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스텐트의 폐색은 스텐트 사용으로 인 해 발생하는 가장 큰 단점으로 이로 인해 스텐트의 개존 기간은 약 3개월이며 교체를 요하게 된다. 담도스텐트를 장기간 거치시 스텐트가 오히려 담석 형성의 병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4년간 플라스틱 담도스텐트 거치 후 발생 한 stent-stone complex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Stent-stone complex는 기계적 쇄석술과 풍선 도관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모든 이물이 그러하듯이 스텐트도 장기간 거치시 담석 형성의 새로운 병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4,0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event the high velocity bullet from penetration, aluminum alloy and RHA(Rolled Homogeneous Armour) steel, which have a high tensile and compressive strength, are usually used as the bullet-proof armor material. Although these materials have a good bullet proof performance, but not an area density which is a weight increasing factor of bullet-proof armor. Therefore, Mg(magnesium) alloy is a promising substitute for the traditional bullet-proof armor material due to the relatively low areal density. The spatial efficiency of Mg alloy, however, is inferior to the traditional material's, which is a volume(thickness) increasing factor of bullet-proof armor. In this study, we select the multi-layered hybrid armor which consist of Ceramic, with a high strength; Mg alloy, with a low areal density; Kevlar, with a high tensile strength-to-weight ratio; in order to make up for the poor spatial efficiency of Mg alloy. By predicting V50 of the multi-layered armor against 9mm FMJ(Full Metal Jarket). we show that the multi-layered armor have the capability in improving bullet-proof performance in the respect of the areal density, but also the spatial efficienc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