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최근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회의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논의동향 및 대응방향

Recent development on climate change at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Korea's future strateg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9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생물다양성은 ‘생태계 서비스’를 통해 기후변화의 ‘완화(mitigation)’과 ‘적응(adaptation)’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와 생물다양성은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바, 기후변화는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생물다양성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보전에 관한 포괄적 국제환경규범인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에 관한 많은 결정문을 채택하여 왔으며, 2001년부터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에 관한 특별기술전문가그룹’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 해양시비(ocean fertilization), 바이오연료 등 최근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회의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논의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Biological diversity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mitigation and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through its ecosystem service.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biodiversity has been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and vice verse since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are closely interrelated.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comprehensiv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norms for conserving biological diversity, has adopted many decisions on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and it has also established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This study explores recent development on climate change at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uch as ocean acidification, ocean fertilization and bio-fuel, and further analyses Korea's future strategies.

목차
요 약
 Abstract
 1 . 서 론
 2. 생물다양성협약상 기후변화 논의동향
  2.1 생물다양성협약상 기후변화 논의경과
  2.2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3. 생물다양성협약상 기후변화 관련 쟁점사항
  3.1 해양산성화
  3.2 해양시비활동
  3.3 기후변화에 대응한 생태계 기반 적응방식
  3.4 바이오연료 개발
  3.5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4.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박수진(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 | Su-Jin Park (Marine Policy Research Division, Korea Maritime Institute, Seoul, 120-27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