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介庵 姜翼의 산문 문학에 드러난 학문 지향 KCI 등재

Expressed in Prose Works, Kang Ik(姜翼)'s Stud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678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6.12.30.2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에서는 介庵 姜翼(1523-1567)의 학문 특징을 살펴보고 그의 학문 지향이 문학작품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서술 하였다. 강익은 당대 함양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평생을 수양으로 일관하였고, 남계서원 건립을 주도하는 등 유학의 사회적 보급에도 힘 을 기울인 인물이다. 이러한 강익의 학문 특징은 그가 남긴 記文에 집약 되어 있다. 강익은 이른 나이에 과거를 포기하고 爲己之學으로 방향을 선회하여 학문에 정진하였는데, 이는 스승 唐谷 鄭希輔(1486-1547)나 南冥 曺 植(1501-1572)의 영향 외에도 자신의 과단한 실천 성향이 그 기저에 자리했다. 과단한 실천 성향이 위기지학을 확고히 실천하도록 만든 요 인이며, 성현의 본지를 ‘自得’하는 학문 방법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실천 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조식은 강익에 대해 ‘끝을 잘 맺을 것이 분명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하였다. 강익에게서는 문학에 대한 뚜렷한 관점이 감지되지 않는데, 이는 문 학에 대한 고민보다 심신수양에 역점을 두었던 그의 학문 지향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그의 학문 지향이 집약된 작품이 「양 진재기」이다. 강익은 「양진재기」에서 양진재를 건립하게 된 경위와 택지의 이유 및 의도 등을 설명하였다. 이 작품에서 강익은 성정의 참됨[性情之眞] 을 기르고자 외부와 격리된 곳에 택지를 하고, 주변의 자연물과 자신의 공부방이 교감할 수 있도록 안배하였으며, 수양을 돕는 물건들도 주위 에 배치하였다. 즉 「양진재기」는 강익의 자기 수양을 위해 자연물·인공 물을 가려서 배치하고 연출한 의도와 그 속에서 성정의 참됨 기르고자 했던 학문적 지향이 담긴 글이다. ‘양진재’가 본인의 학문 정진을 위해 사적 공간을 의도대로 조직한 건물이라면, ‘남계서원’은 학문의 표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유 학을 널리 장려하고자 설립한 건물인데, 이러한 강익의 학문적 지향이 표출된 글이 「남계서원기」이다. 「남계서원기」에서는 一蠹 鄭汝昌을 제 향해야 하는 도학적 당위와 서원의 교육·교화적 기능을 주로 설명하였 다. 인간만이 도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데 이는 도를 지닌 사람만이 가능하므로 정여창과 같은 선현을 서원에 제향하여 추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선현을 서원에 모시고 제사지내는 의식이 학생들을 고무 시키는 측면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여창의 도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유학이 부흥할 거라는 것이다. 강익은 두 편의 記文을 통해 내면으로 학문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대외적으로 학문을 장려하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16세기 초반부터 조식·이황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하여 유학자로서의 표상을 정립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관되게 유학적 가치를 실천하고 보급한 강익과 같은 인물이 등장하여 사림의 자기 정체성이 더욱 뚜렷해졌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Kang Ik(姜翼,1523-1567)'s studies and academic feature. Kang Ik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Ham-yang[咸陽] Korea. He studied heartily throughout his lifetime and practiced it consistently. This is expressed through his writing 「Yangjinjaeki[養眞齋記]」. Many people, such as Jo Sik[曺 植], appreciated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played a big part in building Namgye-seowon[蘫溪書 院], and recorded the process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work is called 「Namgye-seowongi[蘫溪書院記]」. As a result, He not only practiced his studies personally, but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dissemination. Kang Ik gave up the national examination at a young age an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by turning his direction to Wigijihak[爲 己之學]. Also, through self-awareness[自得], he was able to study elaborately. Kang Ik described his intention for his study in 「 Yangjinjaeki」. In Yangjinjae, all natural and artificial conditions were to serve for his study.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reason why we should remember Jung Yeo-chang[鄭汝昌] through 「Namgye-seowongi[蘫溪書院 記]」, and explain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Namgye-seowon. The identity of Confucian scholars was strengthened by the activities of Kang Ik in the mid 16th century.

목차
Ⅰ. 서론
 Ⅱ. 인물 성격과 학문 특징
  1. 果斷한 실천 성향
  2. 爲己之學 추구
  3. 自得의 방법
 Ⅲ. 산문 작품에서 드러난 학문 지향
  1. 강익의 학문 지향
  2. 자기 수양의 의지 표출 - 「양진재기」
  3. 유학 장려의 의지 표출 - 「남계서원기」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具珍成(한국선비문화연구원 연구원, Korea Sunbi Culture Institute) | Gu, Jin-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