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유통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중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차단성분 사용실태조사 KCI 등재

Survey of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7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총 100건을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과 자외 선차단성분 18종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살균보존제 성분 5가지는 페녹시에탄 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 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 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사한 100건의 화장품 모두 검 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일부 자 외선 차단 화장품의 경우 포장⋅용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이 검출되었다. 100건 중 31건의 화장품에서 표시되지 않은 살균보존제 성분(벤질 알콜 등 6종)이 검출되었고, 2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자외선차단성분(호모살레이트 등 2종)이 검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16 preservatives and 18 UV filter ingredients levels in 100 sunblock products. The order of detection rates of preservatives was phenoxyethanol (n=61), benzoic acid (n=19), methyl paraben (n=11), benzyl alcohol (n=8), propyl paraben (n=7). Also the order of detection rates of UV filter ingredients was titanium dioxide (n=81), ethylhexyl methoxycinnamate (n=69), zinc oxide (n=48), ethylhexyl salicylate (n=48),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triazine (n=44). The content of the detected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was within maximum allowed amount established by KFDA. In addition,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which were not labeled in the products, were detected in 31 and 2 products respectively.

목차
요 약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기기 및 시약
  2.2. 실험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성분별 제품표시사항 실태
  3.2. 성분별 검출 실태
 4. 결 론
 Reference
저자
  • 박정희(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Jeong Hee Park 주저자
  • 김종필(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Jong Pil Kim
  • 김진아(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Jin A Kim
  • 서계원(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Kye Won Seo
  • 김은선(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Eun Sun Kim
  • 서정미(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Jumg Mi S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