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in Pupil Size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in Myopes KCI 등재

근시안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7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근시안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교정을 하고 이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를 조도와 근시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2.47±1.80세(20-28세)의 근시안 51명(101안)을 대상으로 굴절교정 전 나안상태와 소 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pupillometer를 사용하여 동공크기를 측정하였다. 동공크기는 검사실 조도 100 lx, 주시거리 3.5 m에서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근시도에 따 라 -2.00 D 이하는 경도 근시, -2.00 D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등도·고도 근시 그룹으로 분류하여 동공 크기를 비교하였다. 근시도와 동공크기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 후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조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중등도・고도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경도 근시안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모든 조도에 서 동공크기는 굴절이상도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5).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 후 경 도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굴절교정 전과 차이가 없었으나(p >0.05), 중등도・고도 근시안에서는 유의하게 감 소하였다(p<0.05). 결론: 암소시, 박명시 상태에서 중등도・고도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경도 근시안보다 더 크고, 소프트 콘택 트렌즈로 굴절교정한 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ractive correction with soft contact lenses on pupil size according to illuminance and refractive status in myopes. Methods: Participants were young myopes (n = 51; 22.47 ± 1.80 years; age range, 20 - 28 years) and refractive errors were corrected using soft contact lenses. Pupil sizes were measured with a pupillometer at the modes of scotopic, low and high mesopic condition (light off, 0.3 and 3 lx) at 3.5 m in the 100 lx illuminance condition. Based on refractive errors subject were divided two groups ; -2 diopters or less were low myope group, and -2 diopters or more were moderate・high myopia group and pupil sizes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s (D) and pupil size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05. Results: Pupil size of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illuminantion (p<0.05). Pupil size in moderate・high myopes was greater than that of low myope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upil size and refractive errors in all illuminance (p >0.05). Pupil size of myopes after correction with soft contact lense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uncorrected condition in low myopes, b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oderate·high myopes (p<0.05). Conclusions: Pupil size of the moderate-high myope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low myopes, and decreased after correction with the soft contact lens. This result get in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for the multifocal contact lens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1) 굴절교정방법 및 검사방법
   2) 자료분석
 Ⅲ. 결 과
  1. 근시안의 굴절이상도와 동공크기
   1) 나안상태에서 근시안의 동공크기
   2) 굴절교정 후 근시안의 동공크기
   3) 굴절교정 전과 후 동공크기 차이값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Koon-Ja Lee(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이군자 Corresponding author
  • Dong-Kyu Lim(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임동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