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 전자감시제의 효과성 및 정책적 시사점연구 KCI 등재

U.S. Electronic monitoring effectiveness and policy im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4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2008년부터 전자감시는 성폭력사범에 대한 사회내 처우라는 점에서 그 효과성에 대한 상당한 기대감을 가지고 출발하였으나, 최근 전자감시 대상자의 재범이 늘어나며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여전히 전자감시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보다는 재범억제라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주장이 강하고, 그 적용대상도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한국 보다 30여년 앞 서 이 제도를 시행한 미국의 경우 전자감시로 인한 대상자의 사회부적응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될 만큼 전자감시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자감시의 적용대상을 살인, 강도, 유괴 등으로 확대일로에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또한 그 효과성에 대한 정교한 진단작업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감시, 즉 전자발찌의 부착이 가석방 이후 적용되는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점은 매우 우려스러운 조치이다. 가석방의 조건이 전자감시부착이 아니라 수형자의 개전의 징후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둘째, 전자감시 기간의 적정성 문제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전자감시 기간의 장단이 대상자의 재범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현행처럼 최대 30년이라는 부착명령 기간의 유효성 여부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전자감시 대상자의 재범률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자감시가 성폭력범 및 약물사범에게는 재범억제 효과가 있지만, 그 외의 폭력사범에게 재범억제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결과는 소급적용의 정책을 거듭하면서까지 적용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반증이라 하겠다. 넷째, 대상자의 준수규칙 위반률이 높아지는 원인 진단 및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 기기적인 감시 위주에서 탈피하여 기기와 보호관찰관의 면담, 그 외의 보호관찰 방법의 실질적인 병행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다섯째, 대상자의 사회생활의 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전자감시의 목적은 대상자의 재범억제이지 경력단절 혹은 인간관계단절 등이 아니라는 점에서 특히 고려되어야 한다.

Electronic monitoring for sex offenders of korea was introduced in 2008. Electronic monitoring is community treatment, and government expected high recidivism. However, recently there is many sexual abuse by electronic monitoring offenders. So citizen began to worry about negative effect to electronic monitoring offenders. Electronic surveillance in the United States was introduced in 1984. The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lectronic monitoring in a variety of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posal the improvement of Korea based on the United States related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First, the electronic monitoring should not be a condition of parole. Second, government should be diagnosis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electronic monitoring period. Third, government should be diagnosis the recidivism rates of electronic surveillance offender and contemplate expand electronic surveillance crime offender. Fourth, electronic monitoring offender should be receive technical surveillance and regular counseling from probationer. Fifth, the government should be design supporting policies of social life, and relationships to electronic monitoring offender.

목차
Ⅰ. 서 론
 Ⅱ. 미국 전자감시제의 효과성 평가
  1. 양적인 연구를 통한 효과성 평가
  2. 질적 연구를 통한 효과성 평가
  3. 미국의 전자감시제 진단의 시사점
 Ⅲ. 한국 전자감시제의 진단
  1. 전자감시의 가석방 대상자 편중
  2. 전자감시의 대상기간의 확대
  3. 전자감시자의 재범
  4. 전자감시 대상자의 준수규칙 위반
  5. 대상자의 사회생활의 단절 혹은 장애
 Ⅳ.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허경미(계명대학교 경찰행정학부) | Huh, Koung Mi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