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도소 직무환경에 대한 교도관의 인식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KCI 등재

Attitude and Perceptions of the Correctional Work and Role among Correctional Officers : Does gender mat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9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교도소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한 남녀교도관들의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남성 중심적인 직무환경과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교정조직에서 소수로 존재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이 주류의 남성교도관과 유사한 인식과 적응을 보여주는 지의 문제는 미래 여성교도관의 역할과 직무 다양화의 주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교도관으로서의 직업윤리, 직무만족도, 상사와의 관계와 인식, 조직의 교육혁신에 대한 태도와 인식, 그리고 교도소 폭력에 대한 허용도 등 직무환경과 조직문화에 관한 다양한 태도와 인식 등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도관들의 젠더가 교정기관의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교도관들과 여성교도관들 사이에 직업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차이를 거의 발견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태도에서 성별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교도관들이 기존의 남성중심적 업무와 환경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교도소 직무환경에서 전문성 있는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남자교도관과 유사하게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정행정의 중요한 담당자로서의 여성교도관의 위상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여성교도관의 성공적 업무수행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ex and various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correctional role in prison, such as job moral, evaluation on the supervision quality, job stress and so on, among correctional officers. This purpose is examined by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correctional officer sample (n =448) from 12 prison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compares the means of a set of measures reflecting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correctional role including social-economic variables by sex. Further, it develops a serie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if sex and other factors do really impact on the job and work environment attitudes and perceptions among the correctional officers.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x do not play a major role in shaping officers’ perceptions of work environment.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contribu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result and discussion in this artic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변수
  3.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기술적 분석결과
  2. t-검정 분석결과
  3. 다중회귀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윤옥경(경기대학교 교정보호학과) | Yoon, Ok-Kyung
  • 김은영(가톨릭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Kim, Eun-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