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組織特性이 矯導官의 職務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矯導官의 收容環境 認識度 差異를 中心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attitude differences of correctional officials by institutional characters - Focused on the Recognition differences by Institutional characters -

조직특성이 교도관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교도관의 수용환경 인식도 차이를 중심으로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6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교도관의 성별, 근무기간의 장단, 근무장소(범수별 수용기관)의 차이가 교도관의 태도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그 결과 여성교도관의 경우 남성에 비해 인간관계와 조직에 대한 충성도, 애착도, 보상도가 더 높았으나 수용처우에 있어 자신감은 남성교도관에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무기간이 많을 수록 (11년 이상의 근무자) 개인존중감과 직장생활만족도에 있어 자긍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다른 변수의 경우 평균편차의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이는 수형자의 범수별 수용구분에 따른 처우에도 불구하고 근무기관에 따라 차별적 인식도를 보일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는 다른 것으로, 수형자에 대한 과학적인 분류 및 개별처우가 미흡하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향후 개정법령에 따라 실시예정인 계호등급에 의한 단계별 처우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시설별로 보다 자세한 처우기준을 마련하고, 각 시설에 따라 조직가치와 근무자의 행위 통제를 위한 적정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This study has done through a survey for 300 correctional officer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rrectional officials's sex, seniority, and level of custody by the number of imprisonment and the officials's attitude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except the fact that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showed higher sense of unity and royalty for their institution. Except from that, other variables such as seniority and level of custody of the institution didn'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erms of attitude to their institutions. These result means, in indirect way, that the accommodation policy, now we are using, by the number of imprisonment hasn't produced any good result in terms of inmates's treatment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tell us what we should do to have more effective program for the inmates depend on their stage of rehabilitation. As a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we have to set a clear standard of control in terms of physical and emotional treatment of inmates.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grams in each institutions 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by correctional administration.

목차
組織特性이 矯導官의 職務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설정
  Ⅲ. 실증분석결과 및 해석
  Ⅳ. 결론(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언담(법무연수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