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for Improvement of School Adjustment of Youth Probationers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 부적응 청소년들에게 해결중심접근에 입각한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교생활의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S보호관찰소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 40명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8회기의 구조화된 해결중심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대상자들에게 1 주일에 1회, 매회 2시간씩 총 16시간을 실시하였다. 집단개입에 대한 분석은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또래, 교사, 가족관계를 검사하였다. 이러한 객관적 자료 분석과 함께 주관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 집단의 역동성 관찰과 매회의 프로그램 활동일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 참여 이후 자아자존감, 또래, 가족과의 관계가 향상되었으며, 이는 또래 및 가족과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대상자의 변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대상자들과 교사들의 상호교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집단프로그램에 교사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집단과정 분석을 살펴보면, 3회기까지는 미미한 변화를 보였지만, 4회기 이후에는 집단내의 상호인정, 격려, 지지, 자신의 발전, 변화된 모습이 두드러지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학교생활 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은 학교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dolescents mal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better adjust, by implementing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basis of solution focused approach. For this study, 40 participants, under the probation from the S Probation Center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the solution focused program. The analysis of the group intervention was to compar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garding the participants'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and family relationship. With this objective data analysis, the observations of the group's activities and memo of recording program activiti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increased. This showed that the adolescents' positive feedback with peers and their families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participants. Second, the scores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mu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ir teachers were not satisfactory. Further, the program lacked the elements of improving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rd, as the session of the program continued to be implemented, until the third session, there were a little changes in evaluation scores of self-assessment by the participants. However, from the fourth session, there was remarkable increase in the scores of mutual recognition, encouragement, support, self-development, and self-changes. Accordingly,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program turned to be meaningfully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