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존 듀이의 ‘하나의 경험’과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배움’의 의미 관계를 통한 교육적 가치 탐구 KCI 등재

John Dewey's ‘an experience’ Educational value of Gilles Deleuze's meaning of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7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의미 있는 ‘하나의 경험’은 성장을 가져온다. 존 듀이는 ‘하나의 경험’을 하나의 예술작품이 만족스럽게 완결에 이르게 되고, 계속해서 고민하던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마침내 도출되는 것이라 말한다. 독서를 하거나 책을 쓰는 것 등도 언젠가는 종결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의 종결은 단순히 중지(cessation)가 아닌 하나의 과정의 결과라고 보는 것이다. 경험이란 하나의 통일된 결합이며 그것 자체는 개별화된 특질과 자발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경험을 ‘하나의 경험’이라고 부른다.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에서 또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하나의 경험이 되는 배움’이란 교육적인 의미와 가치로서 인정되고 평생 기억에 남는 교육 경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 입장의 배움과 교수자 입장의 배움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만남과 접속을 통해 발생된다. 기호학습에 근거 한 들뢰즈의 ‘배움’ 이론이 ‘하나의 경험’으로 기억되는 의미 있는 가치로의 가능성을 ‘만남’과 ‘과정’을 통해 탐구하고 접근해 보고자 한다.

A meaningful ‘an experience’ brings about growth. John Dewey describes ‘an experience’ as a satisfactory completion of an art work, and finally comes up with a solution to a problem that he has been struggling with. Reading or writing a book will come to an end someda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result of a process rather than simply stopping. Experience is a unified union, and it has i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illingness. The experience that has these characteristics is called ‘an experience.’ Learning as an experience is an educational experience activity that is recognized as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and remains in memory for life, either in school field education or in a lifelong education. Learning from the learner's side, learning from the learner's side, occurs through the meeting and connection between learners and trainers. Deleuze's ‘learning’ theory based on symbolic learning seeks to explore and approach the possibility of a meaningful value that is remembered as ‘an experience’ through ‘meeting’ and ‘process.’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 배움이란 무엇인가?
 II.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 어떻게 배울 것인가?
 III. 경험은 ‘배움’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IV. ‘하나의 경험’이 되는 배움을 어떻게 생성해 나아갈것인가?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엄혜윤(한국교원대학교(교육박물관)) | Eom, Hye-Yo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