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IS를 이용한 시설재배의 기상재해 취약지역 해석 - 전라남북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GIS Spatial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Protected Cultivation Area to Meteorological Disaster : A Case Study of Jeollanambuk Province,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에 의한 기상재해로 온실의 피해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요인인 기상과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시설재배에 취약한 지역을 검토하여 피해를 사전에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수립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도 지역을 대상으 로 시설재배의 기상재해와 관련된 대리변수를 산정하여 기상재해에 의한 시설재배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공간적인 분포분석을 통해 기상재해에 취약한 시설재배지역을 지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작성된 시설재배의 취약지도와 대상지역에서 발생된 온실의 실제 재해기록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작성된 기상재해에 대한 시설재배 취 약지도와 실제 온실의 피해기록을 비교해보면, 광주광역시, 나주시, 영암군, 장성군, 함평군 그리고 해남군 등 대상지역의 약 50% 정도가 본 연구의 취약지도와 실제 재해기록과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군산시, 김제시, 목포시 그리고 무안군 등은 기상조건이 취약등급에 포함이 됨에도 불구하고 재해피해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에 따라 다른 온실의 구조적인 설계 및 관리측면이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자연재해의 주요 원인인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기상재해에 대한 시설재배의 취약지도를 작성 하였고, 과거 재해기록과 비교하여 대상지역 내에서 취약한 지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온실의 설계 및 관리측면에서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를 경감 및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increase in an abnormal climate events and 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causes a great damage to greenhouse facilities. To minimize and evaluate the expected damag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and a management system in advance.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analysis of weather and abnormal climate are needed to investigate protected cultivation areas which are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This study focused on protected cultivation areas in Jeolla province, South Korea. Surrogate variable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vulnerable areas to meteorological disasters,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y using GIS to present vulnerable areas on map. The map thus created and was compared with actual data of damages by 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occurred in target are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as follows: About 50% of the target areas showed an agreement between the map created in this study and the actual data, these areas includes Gwangju metropolitan city, Naju city, Yeongam County, Jangseong County, Hampyeong County, and Haenam County. On the other hand, other areas, including Gunsan city, Mokpo city, and Muan County, suffered low damage in spite of high levels of vulnerability to meteorological disasters. This result was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such variables as different structural designs and management systems of greenhouses by region.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to find out more detailed vulnerability to protected cultivation area and to create a map of vulnerable protected cultivation areas. In addition, the map was compared with the record of natural disasters to identify actual vulnerable area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reducing damages by meteorological disasters in terms of design and management of greenhouse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2. 자료수집
  3. 평가방법
 결과 및 고찰
  1. 대리변수 산정 결과
  2. 시설재배 취약지역 평가
  3. 과거 재해기록과 취약면적의 비교분석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김동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Dep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Dong Hyeon Kim
  • 강동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Dept. of Agr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Dong Hyeon Kang
  • 이시영(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Dept. of Agr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Si Young Lee
  • 손진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Dept. of Agr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Jin Kwan Son
  • 박민정(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Dept. of Agr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Min Jung Park
  • 윤용철(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Dept. of Agricultural Eng, Gyeongsang National Univ.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NU)) | Yong-Cheol Yoon
  • 윤성욱(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Dept. of Agr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Sung-Wook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