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품질 및 이화학 특성 KCI 등재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wpea Cultivars Grown in Different Seeding Peri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동부의 품질기준 설정과 중북부지역 생산 가능성 검토를 위해 품종 및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생산한 동부의 일반성분, 품질 특성과 항산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동부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함량은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동부 품종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수분 결합력은 108.87~143.19%로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품종에서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용해도는 파종시기에 따라 서원과 연분 품종은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옥당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팽윤력은 품종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서는 연분 품종만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 서원 품종은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옥당 품종은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서는 서원 품종만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약간 감소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파종시기에 따라 연분과 옥당 품종이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파종시기에 따라 모든 품종이 7월 5일 파종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항산화 특성을 고려하면 중북지역에서 동부의 생산은 6월 초순에 파종하는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서원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항산화성이 높아 가공품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가공적성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o begin with, this study identified and review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cultivars grown in two different seedling period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ree cultivars (Seowon, Yeonboon and Okdang) and two different seeding periods (5 June and 5 July). Through this lens,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owpea cultivars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compared to the 5 June cultivation. This brings us to understand that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ter solubility index, and swelling pow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In this case,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 cowpea was 108.87~143.19%, and decreased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compared to the 5 June cultivation. As show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ultivars. In this cas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5 June and 5 July cultivation on the Seowon 4.17 and 4.12 mg GAE/g, respectively. In these term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wp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the Yeonboon and Okdang increased slightly during 5 July cultiv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wp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all cultivars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5 July cultivation. In other words, the phenol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 measurable depending on the cultivars and seeding peri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cultivar and seeding tim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applicable cultivation ar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재료
  2.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일반성분 분석
  3.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품질 특성 분석
  4.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5.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DPPH 및 ABTS radical소거활성 측정
  6.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일반성분 함량
  2.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품질 특성
  3.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항산화 성분 함량
  4.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DPPH 및 ABTS radical소거활성
  5. 품종 및 파종시기별 동부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간의상관관계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현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Hyun-Joo Kim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지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Ji Hae Lee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병원(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Byong Won Lee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유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Yu Young Lee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전용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Yong Hee Jeon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병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Byoung Kyu Lee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우관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Koan Sik Woo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