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on Korean Opticians’Job Stress KCI 등재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이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이 미치는 영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안경사 34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평가는 10개 문항, 소진 척도는 3 개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자아성취감 저하, 탈 인격화)의 18개 문항, 심리적 안녕감은 3개의 하위요인(개인적 성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평가를 위해 21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 중 고용주는 218(63.6%)명, 고용인은 125(36.4%)명이었다. 설문문항 및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직무스트레스는 0.84, 소진은 0.96, 심리적 안녕감은 0.86이었다. 하위요인별 평균값은 개인적 성장이 3.11점으로 높았고, 자아성취감 저하가 2.5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안경원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상관성이 있었다.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정서적 고갈, 자아성취감 저하,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는 감소 하였고 탈 인격화와 자아수용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무스트레스는 안경사의 자아성취감을 떨어뜨리고 부정적인 대인관계와 자신에 대한 불만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안경사 직업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안경사 직업특성에 맞는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level of Korean opticians’ job stress and identify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influence whic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have.
Methods : This study used 10 items for the job stress evaluation, 18 items of 3 sub-factors (emotional exhaustion, decline of self-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for burnout scale, and 21 items for evaluation of 3 sub-factors(individual growth,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343 Korean opticians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18. Result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18 employers (63.6%) and 125 employees (36.4%). Confidence level of questionnaire items and sub-factors, job stress,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0.84, 0.96 and 0.86, respectively. In case of average value by sub-factor, individual growth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11 and decline of self-accomplishment showed the lowest score of 2.51. As continuous length of service at optical shops was lengthened, job stress was increased, and job stress has a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self-acceptance of psychological self-wellbeing. As the stress level of opticians’job wa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decline of self-accomplishment, individual growth, and positive rel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depersonalization and self-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 Job stress decreases the self-accomplishment of opticians, and increases negative personal rel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self. This can lead to dissatisfaction with a job as an optician.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 study on a job stress coping method appropriate for the job characteristics of opticians is requir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1) 직무스트레스
   2) 심리적 안녕감
   3) 소 진
  3. 자료 분석
 Ⅲ.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설문 항목 및 하위요인의 신뢰도
  3. 충남지역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와소진 및 심리적 안녕감
  4. 안경원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5. 직무스트레스와 주요변인의 상관성
  6. 직무스트레스와 주요변인의 회귀분석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Kyung-Hee Hong(Dept. of Optometry, Sungduk C. University, Yeongchen, 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홍경희
  • Se-Jin Kim(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