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nd Life,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ennis Particip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차이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생활체육 테니스의 참여 기회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2년 서울시 S구 소재의 생활체육 테니스 시설을 중심으로 테니스 활동에 참가하는 만20세 이상 성인을 모집단으로 무선표집된 10개소 테니스 시설에서 총 300명을 집락표집(cluster sampling) 하여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각 변인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여가만족에서는 남자가 신체적, 사회?교육적, 환경적 요인이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요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연령 집단에서 사회?교육적 요인,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에서 신체적 요인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 요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에서는 고수입 집단이 신체적, 사회?교육적, 휴식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은 높고 수입이 많은 집단에서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에서는 참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사회?교육적,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참여시간에서는 참여시간이 증가할수록 신체적, 사회?교육적,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 관계에서는, 사회?교육적, 환경적 요인이 생활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생활만족에서는 참여기간, 참여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과 참여시간은 각각 기간과 시간이 증가할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들의 차이는 변인 및 요인의 다양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참여정도와 생활만족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생활만족에 관련한 변인과 하위 요인을 정확히 측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와 일관성 있는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sports participants based on socio-demographic groups in order to broaden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tennis as well 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studies. To achieve its main goal, 300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adults tennis participants over 20 at 10 tennis facilities located in Seoul in 2002 by means of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nd were analyzed factors of leisure satisfa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degree of participation of tennis participants. The result shows that physical, socio-environmental, educational factors of male participants indicated higher than those of women. Older participants showed higher physical factor, and the aged group indicated high socio-educational, environmental, relax factors. As the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the satisfaction factor increased, and high income group showed high physical, socio-educational, relax factors. The age and high income group expressed high life satisfacton, and as participation period and time become longer, socio-educational, environmental, relax factors became higher. There was also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and socio-educ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main factors. Lastly, life satisfaction was stastically different depends on degree of participation (period, frequency, time), and longer participation period and time lea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However, this study and some previous studies are contradictory in some ways. It is considered that those conflicting results stem from various factors and variables, thus consistent insturments and reliable results should be created through further studies on degree of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저자
  • 김승철(성균관대학교) | Kim Seung-Chul (SungKyunKwan University)
  • 이동현(성균관대학교) | Lee Dong-Hyun (SungKyunKwan University)
  • 육영숙(성균관대학교) | Yook Young-Soog (SungKyunKwan University)
  • 장선웅(성균관대학교) | Jang Sun-Ung (SungKyunKw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