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령과 속도 조건이 축구 패스의 타이밍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age and speed on coincidence-anticipation timing in a soccer p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속도 조건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과 타이밍 일관성의 발달적 변화 경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축구의 패스 과제와 버튼 누르기 과제를 본 연구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9세, 11세, 13세, 15세의 4개 연령별로 15명씩 총 60명으로 하였다. 자극의 속도는 시속 1마일, 4마일, 7마일, 10마일 네 가지 속도 조건을 무선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버튼 과제는 각 속도별 5회씩 총 20회, 패스과제는 각 속도별 9회씩 총 36회를 실시하였다. 예측 반응 측정기(Bassin Anticipation Timer)를 이용해 자체 제작한 타이밍 정확성 검사 도구를 통하여 타이밍 정확성의 시간 오차를 산출하였고 산출된 오차를 절대오차, 항상오차, 가변오차로 분류하여 연령과 속도 조건별로 이원 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유소년의 패스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을 나타냈으며 시간 타이밍이 가장 정확하게 나타나는 속도 조건은 시속 4마일이었다. 버튼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은 패스 과제와 마찬가지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패스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일관성은 11세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되었으며 이때의 타이밍 일관성은 시속 10마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버튼 과제 수행 시 타이밍 일관성은 빠른 속도 조건(시속 7마일과 10마일)일 때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speed of stimulus on coincidence-anticipation timing. There were four groups consisting of 15 boys in each group. The ages of each group were 9, 11, 13, and 15. The tasks were a push of a button and a pass of a soccer ball. The speed of stimulus were four conditions: 1, 4, 7, and 10mph(mile/hour) and randomly given to the subjects. All participants executed 20 trials(5 trials per each speed) of a button task and 36 trials(9 trials per each speed) of a pass task. The timing error of coincidence- anticipation task was recorded by using Bassin Anticipation Timer, and then AE(absolute error), CE(constant error), and VE(variable crror) were compu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of AE, CE, and V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in a pass task, timing accuracy improved significantly as the age increased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mph of speed. Second, in a button task, timing accuracy improved significantly as the age increased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at 8 and 9mph of speed. Third, in a pass task, thiming consistency improved only after 11 years of age as the age increased and showed only at 7mph and 10mph as the age increased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from 7mph to 10mph of speed.

저자
  • 김원대(서울대학교) | Kim Won-Da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선진(서울대학교) | Kim Seon-Ji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