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에서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의 개념구조 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f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in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orst, Finney과 Barron(2007)의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에 기초하여 체육수업에서 중고등학생들이 지향하는 사회적 성취목표의 개념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1,024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예비조사(N=180)와 본조사(N=844)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19문항 3요인(사회적 숙달, 사회적 수행접근, 사회적 수행회피)의 체육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구인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성별과 학년급간 측정모형의 구인 동등성이 성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 목표가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 수행회피 목표 수준이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중고등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다양한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icate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in physical education contexts and examine its cross-validity. For this, 1,024 boys and girls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validity and temporal stability of social achievement goals scale in physical education (SAGS-PE) consisting of three factors (social mastery goal,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ocial performance-avoidance goal) with nineteen items were relevant.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s in measurement models was established. In latent mean, boys were higher in social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than girls,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were lower in social performance-avoidance goal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SAGS-PE can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understand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social motivation and measuring their social goals in physical education context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탐색적 요인분석
  2. 신뢰도 분석
  3. 타당도 평가
  4. 집단간 측정모형의 적합도 비교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
  • 황진(서울대학교) | Hwang Jin (Seoul Nat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