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reference Mode and Intensity of Exercise on Participan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Parfitt, Rose & Markland(2000)는 건강운동 촉진과 관련하여 운동 강도의 선택은 개인의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자기결정에 대한 느낌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증가된 자결성은 내적동기를 증가시키고, 내적동기의 증가는 더욱 강력하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자들이 운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생리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비선호 운동유형(선호/비선호)과×운동 강도(55%, 70%, 85%)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대부분 대학생으로서, 65명(남=47, 여=18)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집단×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점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paired-t 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더 낮다. 둘째, 동일한 운동 강도에서 선호된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지각된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 지각이 더 낮다. 셋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운동 강도 70%가 55%와 85%의 운동 강도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넷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감정수준(feeling scale; FS)과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의 2차원 원형 모델은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긍정적인 형태로,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부정적인 상태를 나타냈다. 다섯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수준(feeling scale; FS)은 70% 집단이 55%와 85%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은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의 사용(예, VO2max의 사용), 성별에 따른 차이 점검, 생태학적 타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Relating to facilitate exercise for one`s health, Parfitt, Rose, and Markland (2000) reported that the choices of exercising intensity increase individual autonomy and satisfaction with self-determination. They also suggested that higher self-determination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increase of intrinsic motivation can continue exercise more stro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physiological response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ing while participants are exercising. Psychological/physiological responses experienced by exercise mode (high preference / low preference) and exercise intensity (55%, 70%, 85%) were observed and analyzed. Sixty-five university undergraduates (47 male and 18 female) serv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2.0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with group and time. Both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emotional experience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high preference group had more experience of positive affect and less experience of negative affect than low preference group. (2) In the same exercise intensity, high preference group had lower level of perceived fatigue (physical distress or fatigue; FAT) and RPE (perceived exercise intensity) than low preference group. (3) In emotional experience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70% of exercise intensity was more efficient than 55% or 85%. In both high preference group and low preference group, 70% group had highest level of positive well-being (PWB) of the three groups while having lower or similar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4) Two dimensional circumflex model of FS (feeling scale) and FAS (felt arousal scale)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during exercise and after exercise showed that high preference exercise was placed in positiv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low preference exercise was in negative condition. (5) Positive FS experienced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appeared higher in 70% group than in 55% and 85% group, but level of arousal didn`t mak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In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ome recommendations including use of objective indicator for measuring exercise intensity (e.g.; using VO2max),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research method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