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열정과 탈진의 인과적 관계에서 정서와 운동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육중고교 운동선수 607명(남자=389명, 여자=218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링, 다집단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의 결과, 운동선수들의 정서와 정체성이 열정과 탈진 증상의 관계를 매개하며, 탈진의 분산 중 30%가 선행변수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남녀 선수 간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중고교 선수와 운동경력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운동선수의 정서적/신체적 소진과 평가절하에서 각각 유의한 3원 상호작용(조화열정×강박열정×운동 정체성, 강박열정×긍정적 정서×운동 정체성)과 2원 상호작용(조화열정×부정적 정서, 강박열정×부정적 정서) 효과가 보였다. 본 결과는 긍정적 정서경험과 정체성이 운동선수의 탈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 and athletic ident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athletes' passion for sport and burnout. Subjects were 607 (389 males, 218 females)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athletes' emotions and 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sion for sport and burnout, and 30% of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antecedents of burnout.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 was supported throughout multi-group analysis, but was unequivalent across grade and athletic career. Also, the three-way interactions (harmonious passion×obsessive passion× athletic identity, obsessive passion×positive emotion×athletic identity) and the two-way interactions (harmonious passion×negative emotion, obsessive passion×negative emotion) were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 of identity are important factors to reduce adolescent athletes' burnout symptoms.